육군박물관 | 제2전시실

세계전도

한자 : 世界全圖 제작연도 : 1900년설명 ‘대한광무사년유하학부편집국중간大(韓光武四年維夏學部編輯局重刊)’이라는 명문이 있어 1900년 학부(學部) 산하관청인 편집국(編輯局)에서 제작한 지도임을 알 수 있다. 지도는 동반구와 서반구로 나뉘어 그려져 있으며 상단에 있는 36개국의 국기 또한 서양과 동양으로 각 18개 씩 구분하였다. 국기 밑에는 한글과 한자로 국가 이름을 표시하였다.

일청전사

한자 : 日淸戰史 제작연도 : 1904년설명 1894년 청·일전쟁 당시 일본 육군 참모부에서 편찬한 일본과 청나라 간의 전쟁사를 기록한 총 5권의 책이다. 책에는 전쟁의 기원, 청일 양국 군의 전력, 전투 기록, 병참, 위생 등에 대한 내용과 전쟁 당시 격전지를 지도로 표시하여 책 중간중간에 삽입하였다. 1904년 동경인쇄소에서 발행하였다.

서유견문

한자 : 西遊見聞 제작연도 : 1895년설명 유길준은 우리나라 최초의 미국 유학생으로, 1884년 미국에서 수학하다 갑신정변이 실패했다는 소식을 듣고 1885년 미국에서 귀국 후 연금생활을 하면서 집필한 것이 이『서유견문(西遊見聞)』이다. 1889년에 완성되었으나 6년 후인 1895년에 출간되었다. 내용은 서양 각국의 지리, 역사, 정치, 교육, 법률, 행정, 경제, 사회, 군사, 풍속, 과학기술, 학문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쓰여 있다. 책 표지에 저술자 유길준이 민영달(閔泳達, 1859~1924) 각하에게 준다는 친필과 도장이 찍혀 있다.

전 신미양요 포탄

한자 : 傳辛未洋擾 砲彈 제작연도 : 1871년설명 신미양요(1871) 때 미군이 조선 침략에 사용했던 포탄으로 몸체에 여섯 개의 넓은 홈이 있다.

고종황제 대원수 상복

한자 : 高宗皇帝 大元帥常服 영어명칭 : Emperor Gojong’s Service Uniform of the Imperial Korea Armed Forces 제작연도 : 대한제국 문화재 지정 : 국가등록문화재설명 대한제국의 군무(軍務)를 총괄하는 원수부(元帥府)의 수장인대원수로서 광무황제(光武皇帝) 고종이 착용한 상복(常服, 근무복)이다. 고종은 외국인을 접견할 때나 평시에도 군복을 즐겨 입었다고 전해진다. 이 군복은 근대 서양식 복제에 따라 제작된 검은색 융 재질의 옷이며, 좌우 옷깃에 각각 별 5개가 자수 되어 있는 의령장(衣領章)과 소매의 11줄의 수장(袖章)은 대원수의 계급을 표시한다. 이 유물은 이강칠(李康七, 1926~2007) 전 육사 군사박물관(현 육군박물관) 관장이 1968년 10월 인사동 골동상 의신호(義信號)에서 15,000원에 구입한 후, 당시 낙선재(樂善齊)에 머물고 있던 영친왕비 이방자(李芳子, 1901~1989) 여사를 방문하여 고종황제를 모신 바 있던 성옥념 상궁을 통해 그 진위를 입증받았다.

대원수보

한자 : 大元帥寶 제작연도 : 대한제국 작가(소장자) : 국립중앙박물관(복제) 문화재 지정 : 보물설명 1897년 대한제국을 수립하면서 만든 국새(國璽) 중 하나로 군을 통솔할 수 있는 대원수 즉, 황제가 군대를 지휘할 때 사용하였던 인장이다. 조선시대에 사용되었던 귀뉴(龜紐, 거북이 모양의 손잡이)와는 다른 용의 형태로 제작되어 대한제국이 자주국이자 황제국임을 천명(天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원수부령 및 관안

한자 : 元帥府令 及 官案 영어명칭 : Regulations and Public Officials List of the Board of Marshals 제작연도 : 1900년설명 대한제국기 군무(軍務)를 총괄한 원수부와 관련한 내용이 필사된 수진본袖珍本(소매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만든 책) 문서이다. 그 내용은 '조칙(詔勅) 및 원수부관제개정건(元帥府官制改正件)', '원수부처무규정(元帥府處務規程)', '관안(官案)'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원수부처무규정'은 여타의 문헌기록에서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는 내용을 담고 있다. '관안'은 원수부 및 관련 부처·군부대의 직책과 보임된 인물의 실명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자료 가치가 높다. '관안'의 인물 명단 중 순국지사 박승환(朴昇煥, 1869~1907, 시위1대대 대대장)과 육군박물관에 군복이 소장되어 있는 홍철유(洪哲裕, 헌병대 소대장)의 이름이 보인다. 이 문서는 필사된 '원수부관제개정건'의 내용과 '관안' 내 인물의 보임 연도를 고려할 때 1901년~1904년을 전후한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관안'에 기록된 지방군과 중앙군, 헌병 부대 인원을 합한 병력의 총수는 간부 618명, 하사 921명, 병 16,929명으로 집계된다. 

진위부대장인

아리사카 30식 소총

한자 : 小銃 제작연도 : 19세기 말~20세기 초설명 일본에서 제작된 소총으로 대한제국 군대가 사용했다. 이 소총은 해방 이후 6·25전쟁에도 사용되는 등 오랜 기간 주요 무기로 활용되었다.

군부안·원수부안

한자 : 軍部案·元帥府案 영어명칭 : Official Documents Issued by the Ministry of Military and the Board of Marshals 제작연도 : 1895~1903년설명 대한제국기 군부(軍部)와 원수부(元帥府)에서 중앙 및 지방의 관청과 주고 받은 공문을 필사하여 합철한 자료이다. 판심(版心) 하단부에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가 인쇄되어 있어 일제강점기에 대한제국기 역사 편찬을 위한 사료로 활용하기 위해 전사(傳寫)한 것으로 보인다. 필사된 시기는 군부안은 1895년 5월부터 1900년까지, 원수부안은 1899년, 1900년, 1903년이다. 필사된 원수부안의 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다.

육군법률

한자 : 陸軍法律 제작연도 : 1900년설명 1900년(광무 4) 의정부 참정 조병직(趙秉稷)이 고종황제의 명에 의해 반포한 육군의 법률집으로 군제(軍制)에 대한 전면적이고 근대적인 개혁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법규유편

한자 : 法規類編 제작연도 : 1907년설명 대한제국의 법령과 문서 양식을 규정해 놓은 대한제국 법령집이다. 관복과 군복에 대한 규정을 포함하여 총 6책으로 되어있다. 초대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1841~1909]와 내각총리대신 이완용(李完用, 1858~1926)이 이 법령집 제작의 책임자로 명시되어 있다.

홍철유 헌병부위 예복

한자 : 洪哲裕 憲兵副尉禮服 영어명칭 : Military Police First Lieutenant Hong Chul-yu’s Full-dress Uniform of the  Imperial Korea Armed Forces 제작연도 : 대한제국 문화재 지정 : 국가등록문화재설명 대한제국 육군헌병 부위를 지낸 홍철유가 입었던 군복으로 1897년 육군복장제식 개정에 따라 제작된 헌병부위(憲兵副尉) 의 상복이다. 에는 홍철유가 헌병대 소대장으로 기록되어 있다. 홍철유는 일제강점기 「나는 왕이로소이다」, 「봄은 가더이다」 등을 저술하며 근대 낭만주의운동을 이끈 민족 시인 홍사용(洪思容, 1900~1947)의 부친이다. 그는 1898년 6월 대한제국 무관학교에 입교하여 1900년 1월 졸업과 동시에 육군 참위에 임명되었으며, 1902년 2월 6품 통훈랑(通訓郞)으로 승진되고, 1903년 시위대 제3대대에서 복무하였다. 1904년에는 헌병참위에, 동년 9월에 헌병 부위로 진급하고 1905년 11월에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황석 보병 부위 예복

한자 : 黃淅 步兵副尉禮服 제작연도 : 대한제국 문화재 지정 : 국가등록문화재설명 탁지부(度支部) 세무관, 강릉재무서장 등을 역임하고 1910년 한일병합조약 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한 황석(黃淅, 1848~1938의 군복이다. 대한제국기 보병 병과의 부위(副尉) 예복 및 상복으로서 공통적으로 1개의 별이 있는 의령장, 2줄의 인人자 수장이 장식되었다. 예복의 경우 어깨의 대례견장이 망실된 반면 상복은 장방형의 소례견장이 달려 있다. 상복은 예복과 달리 소매에 병과를 알려주는 색상이 없고, 수장도 예복의 금색과 달리 검은 색으로 표시하였다.

채용신 필 황석 초상

한자 : 蔡龍臣 筆 黃淅 肖像 영어명칭 : Portrait of Hwang Seok Painted by Chae Yong-shin 제작연도 : 대한제국설명 대한제국 육군 부위 황석(黃淅, 1848~1938)의 초상화이다. 화면 중간 좌측에 주문방인朱文方印(적색 방형의 도장)으로 '석지(石芝)'와 '정산군수채용신신장(定山郡守蔡龍臣信章)'이 찍혀 있어 구한말의 어진화가 채용신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대한제국의 부위 예복을 비교적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고, 예복의 실물이 함께 전해지고 있어 서로 비교하여 볼 수 있다는 점, 대한제국기 군복을 착용한 초상화 작품이 희소하다는 점 등에서 군복 복식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독립군가

한자 : 獨立軍歌 영어명칭 : Song of the Independence Forces  제작연도 : 1920년대설명 일제강점기 독립군들이 불렀던 군가의 가사들을 필사한 책이다. 한글과 한문을 혼용하여 위인들의 행적을 본받아 일본을 물리치자는 내용을 적었다.

마우저 C-96 권총

한자 : 拳銃 영어명칭 : Mauser C96 Pistol 제작연도 : 1910~1930년대설명 독일 마우저사에서 개발한 반자동 권총으로 탄환을 최대 20발까지 장착할 수 있어서 장교들의 선호도가 높았던 권총이다. 의병 및 독립군의 주력 권총으로 사용되었으며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 등에서 홍범도(洪範圖, 1868~1943) 장군이 사용한 기종으로 유명하다.

PM M1910 기관총

한자 : 機關銃 영어명칭 : PM M1910 Machine Gun 제작연도 : 1910~1930년대설명 1910년에 영국의 맥심 기관총을 당시 러시아 육군 소총탄에 맞게 개조한 것이라 일명 '러시안 맥심(Russian Maxim)'이라고 부른다. 수냉식 기관총이며, 청산리 전투에서 독립군의 무기로 사용 되었다.

불원복 태극기

한자 : 不遠復太極旗 영어명칭 : Taegeukgi Embroidered Characters  of ‘Bulwondbok’ 제작연도 : 1900년대 초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 문화재 지정 : 국가등록문화재설명 을사늑약 이후 전남 구례 일대에서 활약한 의병장 고광순(高光洵, 1848∼1907)이 지닌 태극기이다. 자수로 '머지않아 국권을 회복한다.[불원복(不遠復)]'라는 글자를 새겨 의병활동의 정신적 지주로 삼았다고 한다.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성립전례식 내빈서명지

한자 : 韓國光復軍總司令部成立典禮式來賓署名紙 영어명칭 : The Guest's Signature at the Ceremon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s General Headquarters 제작연도 : 1940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설명 1940년 9월 17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중경의 가릉빈관에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전례식을 거행하여 광복군의 창군을 내외에 알렸다. 이때 참석한 중화민국 당·정·군의 각 기관, 단체의 대표자와 각 국의 외교사절 100여명이 서명한 일종의 방명록이다.

M1 개런드 소총

한자 : 小銃 영어명칭 : M1 Garand Rifle 제작연도 : 1940년대설명 세계 최초의 반자동 소총이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주력 소총이다. 광복군도 미군으로부터 제공 받아 주력 소총으로 사용하였다.

M3 기관단총

한자 : 機關短銃 영어명칭 : M3 Submachine Gun 제작연도 : 1940년대설명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의 제식 기관단총으로 모양이 주유기와 비슷한 형태로 인해 ‘그리스건(grease gun)’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미군으로부터 지원받아 광복군이 사용하였다.

위국진충(유인석 유묵)

한자 : 柳麟錫遺墨 영어명칭 : Yu, In-seok's Autographs of 'Fight for one's country'제작연도 : 일제강점기설명 1896년 제천에서 봉기하여 의병을 이끌었고, 1908년 연해주로 망명하여 초기 해외독립운동을 주도한 유인석(柳麟錫, 1842∼1915)이 쓴 유묵이다.' 나라를 위해 싸운다. [위국진충(爲國盡忠)]'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한국광복군예비대 군복

한자 : 韓國光復軍豫備隊 軍服 영어명칭 : Uniform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Reserve 제작연도 : 1945~1946년 경 문화재 지정 : 국가등록문화재설명 1945년 8월 광복을 전후로 국내에서 조직된 한국광복군예비대의 군복으로 상하의 한 벌과 완장, 군모로 구성된다. 1972년에 옛 서울시청 건물 창고에서 발견되었으며 다른 한국광복군예비대 관련 유물과 함께 일괄 수습되었다. 한국광복군은 일정한 제복이 없이 중국식의 군복과 표지를 착용하였으나,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에서 1945년 2월 19일 '군인제복 양식 제정안'을 제정하여 독자적인 광복군의 표지와 군복을 착용하고자 했다. 그러나 실제 사용된 군복은 현재까지 발견된 것이 없으며, 이 군복 상하의 및 육군박물관 소장 군복 상의 1점이 규정에 따라 제작된 유일한 사례이다.

한국광복군예비대 방한복

한자 : 韓國光復軍豫備隊 防寒服 영어명칭 : Winter Clothes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Reserve 제작연도 : 1941년설명 광복군이 입었던 겨울용 방한복으로 1941년 만주사변 때 일제에 의해 제작되었다. 광복군은 중국 중경에서 1940년 9월 항일 추쟁을 목적으로 창설하여 활동하다 1946년 6월 광복 후 해체하였다. 광복군은 태평양전쟁 발발 시 일본에 선전포고 하였으며 광복 후에는 일부 인원이 귀국하여 건군에 참여하였다. 임시정부 군무부(軍務部)에서는 '군인의 각종 표지(標識) 제정안'(1945년 2월 19일)을 제정,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공포·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광복군은 1945년 2월에 복식제식(服飾制式)이 정하여 질 때까지는 일정한 제복이 없이 중국식의 군복과 그 표지를 사용했으나, 복식제식이 정해진 후 독자적으로 광복군의 표지와 군복을 사용하거나 착용하였다. 이 방한 군복은 방한을 위해 안감은 솜을 대어 누볐으며, 조립 W형 단추를 사용하였다. 방한모 정면에는 원형의 태극장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통위부 관인

조선경비대사관학교 졸업증명서

한자 : 朝鮮警備隊士官學校卒業證明書 영어명칭 : Graduation Certificate of the Korean Constabulary Academy 제작연도 : 1946년 작가(소장자) : 김득모 기증설명 1946년 12월 14일 조선경비대사관학교에서 발행한 김득모(육사 2기)의 졸업증서이다.

독립1주년 기념 포스터

한자 : 獨立一週年 記念 포스터 영어명칭 : Commemorative Poster for the First Anniversary of Independence 제작연도 : 1949년설명 해방 이후 미군정에게 정권을 이양 받아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한 1948년 8월 15일의 '독립일'로부터 1주년을 기념하는 포스터이다. 중앙에 태극기와 해태獬豸를, 좌측하단에 경회루와 당시 중앙청(옛 조선총독부) 건물을 그려 넣고, 하단에 '독립일주년(獨立一周年)'이라고 표기하였다.

국방경비대 장교 예복

한자 : 國防警備隊 將校 禮服 영어명칭 : Ceremonial Uniform  of National Defense Guard 제작연도 : 대한민국설명 미군복을 개조한 국방경비대 장교 예복이다. 1948년 이후 장교의 예복 착용이 통제되었으나 일정한 복장 규정이 제정되지 않아 미군 정복을 개조하여 예복으로 착용하도록 하였다. 

환아하산(김구 유묵)

한자 : 還我河山(金九遺墨) 영어명칭 : Calligraphy by Kim, Gu 제작연도 : 1947년설명 백범(白凡) 김구(金九, 1876~1949)가 1947년 쓴 유묵으로 '우리의 산하를 되찾아오자[환아하산(還我河山)]'라는 의미이다. 흔히 중국 남송의 명장 악비(鄂飛)의 글귀로 알려진 이 말은 청나라 말의 문인 주승충(周承忠)이 악비의 친필 탁본에서 집자(集字)하여 만든 것이다. 외세에 항거한 중국의 대표적 명장인 악비의 사상을 대변하는 문구로 평가되며, 특히 1931년 일본이 일으킨 만주사변(滿洲事變) 이후 중국 민중의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말로 크게 유행하였다.

육군본부 작전명령 제91호, 제94호, 제119호

화살머리고지 발굴 유물

한자 : 高地發掘遺物 영어명칭 : Relics excavated at Arrowhead Hill 제작연도 : 1952~1953년 작가(소장자) :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대여)설명 2019년 4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된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발굴된 유물이다. 남북군사당국은 2018년 '9·19 군사 분야 남북합의서'를 통해 강원도 철원군 화살머리고지 일대 비무장지대에서 남북 공동유해발굴을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북한의 후속 대응이 없어 우리 군 단독으로 작업을 진행했고, 이를 통해 총 2,030점(잠정 유해 261구)의 유골을 발굴했다.

계급장

네덜란드 해군 병사 모자

한자 : 和蘭海軍兵士帽 영어명칭 : Dutch Navy Soldier's Hat 제작연도 : 1950년 작가(소장자) : 전쟁기념관(대여)설명 6·25전쟁 당시 네덜란드 해군으로 참전하여 활약했던 레핑(Repping)씨가 사용했던 모자이다. 모자 테두리에 황금색 실로 'KONINKLIJKE MARINE(네덜란드 해군)'이라고 수가 놓여져 있다.

These Are Your Boys The Avengers

한자 : 韓國戰爭參戰菲律賓軍關聯書籍 작가(소장자) : 전쟁기념관(대여)설명 6·25전쟁 당시 참전했던 필리핀 1개 보병대대의 전투 활동기록을 복사한 후 책자화 한 것이다. 당시 필리핀 참전용사들의 활약상이 담겨 있다.

튀르키예군 6·25전쟁 참전책

한자 : 土耳其軍韓國戰爭 參戰冊 영어명칭 : Documentary Book of Türkiye Military in The Korean War 제작연도 : 1963년설명 1963년튀르키예의 이스탄불에서 발간된 책자로, 튀르키예군의 6·25전쟁 참전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KOREA 1951-1953

한자 : 冊 제작연도 : 1956년 작가(소장자) : 박일송 기증설명 6·25전쟁 기간 중 1951년부터 1953년 7월 27일의 정전협정까지의 과정을 기록하고 있는 책이다. UN군과 주한 미8군 등의 모습을 시간의 흐름대로 기록하였기 때문에 6·25전쟁 자료로 가치가 높다.

프랑스 잡지- 명예로운 참전 6·25전쟁

영어명칭 : French Magazine설명 6·25전쟁에 참전하여 원주에서 큰 공을 세운 프랑스 출신의 중위 르베우리에(당시 25살)와 래넬(당시 30살)에 관한 이야기를 기사화한 잡지이다.

6.25전쟁 포로 인식표

한자 : 韓國戰爭捕虜認識票 영어명칭 : Prisoners's identification tag in the Korea War 제작연도 : 1950~1953년설명 6·25전쟁 시 UN군이 발행한 포로인식표이다. 포로 생포 후 포로 수용소에 집결될 때까지 포로의 목에 걸어서 관리하였다. 주요 내용은 국적·이름·계급·포획 장소 및 이송방법과 이송장소가 기재되어 있다.

삐라

한자 : 宣傳傳單 영어명칭 : Propaganda Leaflets 제작연도 : 1951~1953년설명 6·25전쟁 당시 유엔군은 북한군 및 중공군을 상대로 심리전을 위해 전단지[삐라]를 제작하여 배포하였다. 그 내용은 유리한 정세 홍보, 고향 향수심 자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밴 플리트 장군의 편지

한자 : 片紙 영어명칭 : Letter of General James A. Vanfleet 제작연도 : 1992년작가(소장자) : 문화재 지정 :설명 밴 플리트 장군이 100세로 별세하기 2개월 전인 1992년 7월 9일 서석봉 육사교수에게 보낸 편지로서, 육사생도에게 전하는 메세지를 담고 있으며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내가 매일(내 생전에 받았던) 축복된 일들을 세어볼 때마다 내 생각은 세계를 가로질러 한국이라 불리는 나라에까지 뻗쳐갑니다. 용감한 한국 국민과 특출나게 우수한 한국군에 대한 충심에서 우러나오는 나의 애정 어린 감정은 수많은 나의 소중한 기억들에 다시 불을 붙여 놓습니다. 육사에 대해 한마디 해달라는 당신의 편지를 받으니 내 마음은 따뜻하게 녹습니다. 이 기회를 통해 여러분에게 몇 마디 나의 생각을 전할까 합니다. 인내심과 불굴의 정신을 갖고 있는 자유를 사랑하는 국민은 그들의 꿈을 실현시킬 수 있습니다. 자유란 소중한 것이지만 또한 소멸되기 쉬운 것이기도 합니다. 자유를 사랑하는 국민은 그들의 '자유'를 수호할 의지를 가져야 합니다. 그들은 군대가 필요하며, 그 군대는 국민의 의사에 응해야 하고 그 군대의 전문성과 모범은 동료 시민들로부터 높은 존경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군의 지도자들은 정신적, 도덕적, 신체적인 면에서 온전해야 합니다. 육사는 생도들에게 '조국'에 대한 고도의 '도덕심'과 절대적인 고도의 '명예심'과 논리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사고능력, 자기 수련 및 '승리의 의지'를 연마시키고 있습니다. 생도들은 장차 군의 지도자입니다. 그들의 직업은 명예로운 직업이며 이것은 또한 인생을 살아가는 숭고한 삶의 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것은 곧 '자유'를 수호하여 국민 각자가 그들의 꿈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그러한 삶의 방법입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나는 한국 육사를 창립했습니다. 생도가 내 동상 앞을 지나갈 때마다 나는 다음과 같은 나의 심정을 생도가 알아주기 바랍니다. 즉, 생도가 표상(表象)하는 것보다 더 크게 우뚝 솟아 서 있는 그 생도의 모습을 나는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는 사실 말입니다.생도들에게 최대의 경의를 표하면서 제임스 에이 밴 플리트

맹호부대 앨범

한자 : 猛虎部隊 紀念寫眞帖 영어명칭 : Commemorative Photo Album of the Wild Tiger Corps in 1968 제작연도 : 1968년설명 베트남전 당시 파병되었던 맹호부대의 다양한 활약상을 담은 기념 사진첩이다. 부대 소개와 당시 작전 수행 상황들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베트남전 참전 사병 앨범

한자 : 越南戰參戰士兵寫眞帖 영어명칭 : A Album of Soldiers in the Vietnam War 제작연도 : 1972년 작가(소장자) : 노희재 기증(2009년)설명 베트남전쟁에서 백마부대원으로 참전한 노희재 씨의 참전 사진첩이다. 당시 파병 기지 내 참전 사병들의 생활상을 볼 수 있다.

월남전투 사진

강재구 소령 조각상과 임관반지

김현영 대위 편지와 사진

주월한국군사령부기

한자 : 駐越韓國軍司令部旗 영어명칭 : Flag of Headquarters of the Republic of Korea Forces in Vietnam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설명 베트남전쟁에 파병되었던 주월한국군사령부의 부대기이다. 기의 바탕은 청색이며, 지구를 녹색의 월계수 잎이 떠받치고 있는 형태이다. 지구본 위에 대한민국 국방부 마크가 그려져 있다.

장소길 소령 유품

채명신장군 전투복과 권총

베트남전 안정태 대위 전투복

한자 : 越南參戰 安定太 大尉 戰鬪服 영어명칭 : Cambat Uniform of Captain Ahn, Jeong-tae in the Vietnam War 제작연도 : 1965년설명 베트남전쟁에 파병 갔던 비둘기부대 소속 안정태 대위(1940~1965, 당시 중위)가 입었던 전투복이다. 안정태 대위는 파병된 장교 중 첫 번째 전사자로 야간 순찰 중 베트콩의 부비트랩에 의해 전사하였다.

60mm 박격포

한자 : 60mm 迫擊砲 영어명칭 : 60mm mortar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설명 중대급 지원화기였던 60mm 박격포로, 경(輕)박격포로 분류된다. 적과 교전 시 은폐 상황에서 쉽게 노출되지 않고 전투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미국에서 1938년에 만들었으며 베트남전쟁 당시 월맹군과 연합군 모두 사용하였다.

화염방사기 M2

한자 : 火焰放射器 M2 영어명칭 : M2 Flamethrower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설명 제2차 세계대전부터 베트남전쟁까지 사용된 미군의 배낭형 화염방사기이다. 베트남의 밀림 지형을 이용한 베트콩들의 게릴라전을 소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또한 동굴이나 터널, 벙커 등에 매복한 적을 몰아내는데도 유용하였다.

1966년 5월 5일 월남파병과 국제협약

한자 : 一九六六年 五月 五日 越南派兵과 國際協約 영어명칭 : The International Agreement on the Deployment of the ROK troops in Vietnam 제작연도 : 1966년 작가(소장자)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설명 1966년 5월 5일 민중당 정치훈련원 교무부(民衆黨 政治訓練院 敎務部)에서 제작한 '1966년 5월 5일 월남파병과 국제협약(一九六六年 五月 五日 越南派兵과 國際協約)' 문서이다. 한미상호방위조약 개정의 필요성 등을 거론하며 국군의 월남 증파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으로, 목차는 '一. 월남에 한국군증파를 왜 반대하는가?, 二. 중요항목,  三. 한미상호방위조약개정의 필요성, 四. 캐빈장군의 월남전략, 五. 미국과 체결된 제집단안전보장조약, 六. 각국의 방위조약'으로 구성되어 있다.

맹호부대 정보참모부 보도자료

한자 : 猛虎部隊 報道資料 영어명칭 : Press Release by the Tiger Division Intelligence branch 제작연도 : 1968년 작가(소장자)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설명 1968년 월남파병 맹호부대 정보참모부에서 발간한 보도자료이다. 본문은 맹호부대의 연혁과 작전 사항, 중요 작전 및 결과표, 민사심리전 사항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맹호부대의 12월 전과와 적 무기 노획 관련 자료 등을 포함하고 있다.

파월장병 가족 안내서

한자 : 派越將兵家族 案內書 영어명칭 : Guidebook for the Families of the Dispatched Soldiers to Vietnam 제작연도 : 1960년대 작가(소장자)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설명 1960년대 육군본부에서 발행한 파월장병 가족 안내서이다.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장병 가족들이 받을 수 있는 상담과 편의를 소개하기 위해 발행되었다. 본문은 '머리말, 군주월 장병 가족안내소, 월남 토막 소개, 업무별 안내사항, 참고사항' 등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주월 장병 가족안내소는 육군본부 면회소 및 각 지역에 설치된 민원접수처로 우편 업무, 파월 장병 가족의 민원 접수, 청원 휴가 신청서 접수 등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월남의 보건[베트남의 보건 환경 안내책]

한자 : 越南 保健 案內書 영어명칭 : Vietnam Health Directory Book 제작연도 : 1965년 작가(소장자)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설명 1965년 육군본부에서 파월 장병을 위해 제작한 베트남 개설서이다. 목차는 지리적 조건, 기후, 인구, 주요 도시, 언어, 행정기구 등 2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된 내용으로는 남베트남 공화국의 자연지리‧인문지리적 특성과 토착 생물의 종류, 의료시설 현황, 주의해야 할 질병 및 동물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기록되어 있다.

“국위빛낼 파월장병 가족도와 무운빌자” 표어

한자 : 標語 영어명칭 : soldiers dispatching to Vietnam who are contributing to national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설명 공보부에서 베트남전쟁으로 파병된 장병들의 승리를 기원하며 제작한 표어이다. 앞면에 '국위빛낼 파월장병 가족도와 무운빌자'와 발행처가 인쇄되어 있다.

감사패

한자 : 感謝牌 영어명칭 : Plaque of Appreciation in the honor of the Minister of Minister of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Shin, Beom Sik, Awarded by the Commander of the ROK troops to Vietnam, Chae, Myoung Shin 제작연도 : 1969년 작가(소장자)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설명 1969년 5월 주월한국군사령관 중장 채명신이 문화공보부장관 신범식에게 수여한 감사패이다. 앞면 네 모서리에 육군·해군·공군·해병대 문장이 자개로 디자인 되어 있으며, 중앙에 호이안·퀴논·닌호아·나트랑·캄란·봉타우·사이공 등 한국군의 주요 주둔지가 표시된 지도를 중심으로, 월남전 참전부대인 주월한국군사령부·맹호부대·십자성부대·백마부대·비둘기부대·청룡부대·백구부대·주월사공군의 마크가 있다. 하단에 주월한국군에 대한 성원과 지도에 대해 감사드린다는 내용 및 채명신의 성명, 지위, 날짜가 새겨진 금속판이 못으로 고정되어 있다.

베트남전쟁 귀국 상자

한자 : 越南戰 歸國函 영어명칭 : A Moving Box of a repatriated officer from the Vietnam War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설명 대위 김강수가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귀향할 때 그동안 사용했던 물품을 고향인 청도에 보낼 때 사용했던 귀국 상자이다.

동티모르 감사장

한자 : 東帝汶 感謝狀 영어명칭 : East Timor Certificate of Appreciation 제작연도 : 2000년설명 동티모르 팔린틸(Falintil) 사령관이 사나나 구스마오(XANANA GUSMAO)가 다국적군과 평화유지군으로 활동한 한국군 지휘관과 장병, 대한민국에 감사함을 표하는 내용의 서신이다. 두 나라가 앞으로도 우호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 나갔으면 한다는 내용도 함께 적혀 있다.

동티모르 상록수부대 파병기념 액자

한자 : 東帝汶 常綠樹部隊 派兵記念 額子 영어명칭 : Sangnoksu Unit's Picture with Frame to Commemorate for Dispatching troops to East Timor 제작연도 : 2000년대설명 동티모르에 상록수부대의 파병을 기념하는 액자이다. 대한민국 국군은 동티모르에 상록수부대 1진을 1999년 9월부터 2000년 1월까지 다국적군으로 419명을 파견하였으며, 2000년 2월부터 2000년 5월까지는 UN 평화유지군으로 444명을 파견하였다.

자이툰부대 1진 명패

한자 : Zaytun部隊 一陣 名牌 영어명칭 : Advance group List of Zaytun Division 제작연도 : 2000년대설명 자이툰부대는 ‘대한민국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의 별칭이다. 2004년 이라크 에르빌주에 도시·농촌 재건사업 지원, 치안 유지 지원, 정보 인프라 지원, 인도적 지원 활동, 현지 친화 활동 등 70여 개의 목적을 가지고 활동한 부대이다. 이 명패는 2004년 8월 처음 파병된 자이툰부대 지휘관의 명단을 기록하였다.

자이툰부대 기관지

한자 : Zaytun部隊 機關紙 영어명칭 : Zaytun Division Official Bulletin 제작연도 : 2004년설명 자이툰부대 정훈공보부에서 발행하는 신보로 자이툰부대의 활동 등에 관한 기록들을 수록하였다. 이 신보는 한국어뿐만 아니라 아랍어로도 번역되어 발간하여 현지인들도 읽을 수 있게 하였다.

PKO 지도

한자 : PKO 地圖 영어명칭 : PKO Map 제작연도 : 1990년대설명 유엔 평화유지요원(UN Peacekeeping Operations), 일명 PKO군이 사용한 앙골라 지형 지도이다. PKO군은 분쟁지역의 평화유지를 위하여 UN에서 정식으로 파견한 군인, 경찰, 민간인 등 다국적 요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은 1995년에 앙골라에 공병부대를 파견하였다.  

자이툰부대 전투복

한자 : Zaytun部隊 戰鬪服 영어명칭 : Combat Uniform of Zaytun Division 제작연도 : 2000년대설명 자이툰부대에서 근무한 표승준 소령의 군복이다. 사막기후인 이라크의 환경을 고려하여 갈색 계통의 전투복을 착용하였다. 처음 파견 당시에는 미국의 연합국으로 이라크의 평화유지와 재건업무로 참여하였는데, 유엔 산하 이라크원조기구(UNAMI)가 설립되면서 유엔 청사 및 직원 경호 업무를 맡기도 하였다.

파키스탄 기념패

한자 : 巴基斯坦 記念牌 영어명칭 : Appreciation Plaque from PAKISTAN 제작연도 : 1990년대설명 1997년 한국군 최초로 인도·파키스탄 정전감시단(UNITED NATIONS MILITARY OBSERVER GROUP IN INDIA AND PAKISTAN) 단장에 임명된 안충준 장군에게 파키스탄 대통령이 보낸 감사패이다.

UNMOGIP 전투복

한자 : UNMOGIP 戰鬪服 영어명칭 : The UNMOGIP Combat Uniform 제작연도 : 1990년대설명 1997년 인도·파키스탄 정전감시단(UNITED NATIONS MILITARY OBSERVER GROUP IN INDIA AND PAKISTAN) 단장으로 근무했던 안충준 소장의 전투복이다. 인도·파키스탄 정전감시단은 일명 UNMOGIP로도 불리며 파키스탄과 인도의 영토 분쟁 지역인 카슈미르 지역의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유엔 사무총장이 정식으로 임명하며, 동시에 예하 군 옵서버 및  관련 요원을 지휘하는 중요한 직책이다.

쿠르드족기

한자 : Kurd族旗 영어명칭 : Flag of the Kurds 제작연도 : 2000년대설명 이라크 북부 쿠르드 자치구에서 사용하는 쿠르드족의 국기이다. 2003년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연합국 편에 가담한 쿠르드족이 분리독립을 요구하였는데 같은 연합국이었던 튀르키예가 강력하게 반대하면서 내외부적인 혼란이 심화됐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자이툰부대가 쿠르드족 자치구 중 하나인 아르빌주에 주둔하면서 평화 유지와 재건 활동을 하였다. 

국방경비대 전투복

한자 : 國防警備隊 戰鬪服 영어명칭 : National Defense Guard Combat Uniform 제작연도 : 1966년(복제)설명 1946년 국방경비대 창설과 함께 만들어진 전투복이다. 광복 이후 혼란한 상황이었던 만큼 미국과 일본의 군복을 혼용하여 착용하였다.

얼룩무늬 전투복

한자 : 僞裝戰鬪服 영어명칭 : WoodLand Battle Dress Unifom 제작연도 : 1990~2010년대설명 1990년대부터 2010년까지 대한민국 육군에서 입었던 우드랜드 계열의 전투복이다. 기존의 민무늬 전투복에서 벗어나 전장에서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 처음으로 군복에 우드랜드[위장무늬] 위장 군복을 도입하였다. 녹색, 갈색, 검정색, 카키색 등 4가지의 색을 사용하였다. 이 전투복은 디지털무늬 전투복과 혼용기간을 거쳐 2014년 8월까지만 착용하였다.

디지털 전투복

한자 : 新型戰鬪服 영어명칭 : Digital Combat Uniform 제작연도 : 2010년~현재설명 2010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육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투복이다. 기존의 4가지 색에서 베이지 그레이색, 다크 올리브 그린색, 포레스트 그린색, 초콜릿색, 목탄색 등 색상을 다양화하고 픽셀화하였다. 이는 한반도 지형에 적합하고, 주·야간 위장효과가 뛰어나며,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실용성을 최대화하는 등 미래의 전장환경에 적합하도록한 것이다. 

라미현 작가 사진

1960년대 전투복

한자 : 1960年代 戰鬪服 영어명칭 : Tropical combat uniform / 1960’s Combat Uniform 제작연도 : 1960~1990년대설명 1960년대 전투복으로 제11대 육군사관학교장을 역임한 박병권 장군의 전투복이다. 민무늬 전투복은 6·25전쟁 이후 1954년 복제제정 이후부터 착용하였는데 그 사이 4번의 복제개선을 거치는동안 큰 변화없이 1990년대까지 착용하였다. 

튀르키예 전투복

한자 : 土耳其戰鬪服 영어명칭 : Türkiye Army Combat Uniform 작가(소장자) : 튀르키예대사관 무관부 기증(2022년)설명 튀르키예군의 신형 전투복이다. 미군의 전투복과 유사한 형태로 전투복의 상의 주머니가 사선 방향의 지퍼 형태로 되어 있어 방탄조끼 등을 착용하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명찰에는 성명과 혈액형, 병과를 같이 표시하여 부착한다. 소총 2개가 교차하는 형태는 보병을 의미한다.

프랑스 전투복

한자 : 佛蘭西軍戰鬪服 영어명칭 : French Army Combat Uniform 작가(소장자) : 프랑스대사관 무관부 기증(2022년)설명 프랑스군의 신형 전투복이다. 이전 군복에 비하여 우드패턴이 좀 더 정밀해졌으며 모자를 탈부착할 수 있다. 상의 뒷쪽에 고무줄을 덧대어 활동에 편리하게 하였으며, 하의는 멜빵과 벨크로 이중 형식으로 되어있어 흘러내림을 잡아준다. 무릎에는 보호대를 삽입하고 밑단은 지퍼와 조임끈을 달아 전술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랑스군은‘워리어 2020(Warrior 2020)’계획에 따라 새로운 군복제도를 도입한 후 이를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있다.

페루군 전투복

한자 : 秘鲁軍戰鬪服 영어명칭 : Peruvian Army Combat Uniform 작가(소장자) : 페루대사관 무관부 기증(2022년)설명 페루군의 신형 전투복이다. 우측 어깨에 약식 국가명을, 좌측 어깨에 페루 육군 표지를 부착하였다. 좌측 가슴에는 공수부대 표지와 페루 국가명 표지를, 가운데에는 대위 계급장을 패용하였다. 상의 여밈은 지퍼로, 하의는 단추로 잠그는 방식이다. 하의 뒷편은 이중으로 덧대어 해지는 것을 보완하였다. 전체적으로 연한 우드패턴 색상을 채용하였다.

독일군 정복

한자 : 獨逸軍正服 영어명칭 : German Army Dress Uniform 작가(소장자) : 독일대사관 무관부 기증(2022년)설명 1998년 전후로 착용한 독일 연방군 기갑부대 장교의 정복이다. 상의 옷깃의 붉은색 바탕의 표지는 좌측 소매 상단에 일명 '홀슈타인'이라고 불리는 18기갑여단의 부대표지가 부착되어 있으며 우측 가슴에는 제183전차대대의 부대 휘장을 패용하였고 좌측 가슴에는 독일 연방군 병역 우수자에게 수여되는 금색 휘장을 패용하였다. 상하의와 함께 검은색 베레모와 단화를 착용한다.

영국군 정복

한자 : 英國軍正服 영어명칭 : British Army Dress Uniform 작가(소장자) : 영국대사관 무관부(2022년)설명 영국군 하정복이다. 옅은 갈색계열로서 금색단추를 달았는데, 단추에는 ‘Elizabeth Regina’의 줄임말인 ‘ER’이 양각되어 있다. 상의에는 허리끈을 맬 수 있게 하였다. 부착된 계급장은 준장으로 영국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들은 동일한 계급 체계와 표지장 형식을 공유한다.

아르헨티나 군복 액자

프랑스 육군 장교 동정복

한자 : 佛蘭西陸軍將校 冬正服 영어명칭 : French Army officer's Winter Service-Dress Uniform 제작연도 : 6.25전쟁 작가(소장자) : 전쟁기념사업회 전쟁기념관(대여)전쟁 설명 6.25 전쟁 당시 참전한 프랑스 육군 장교의 정복으로 좌측과 우측 가슴에 태극표지를 부착하였다.

홍천말고개 전투도

한자 : 洪川馬峴戰鬪圖 영어명칭 : Painting of the Malgogae Battle, Hongcheon 제작연도 : 1984년설명 6·25전쟁 개전 초기인 1950년 6월 28일 북한군 7사단이 홍천을 점령할 목적으로 T-34 전차 및 Su-76 자주포 10여대를 투입하였다. 이에 홍천 말고개에서 아군 제6사단 제2연대 소속 김학두 일등중사(오늘날 하사) 및 특공대의 활약으로 북한군을 공격하여 승리함으로써 적의 홍천 진입을 지연시켰다. 이 그림은 홍천 말고개전투를 유화로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병기학

보병사격교범

한자 : 步兵射擊敎範 제작연도 : 1907년설명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학생들이 사용했던 교재이다. 이 책은 사격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적 내용과 사격을 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군대내무서

한자 : 軍隊內務書 제작연도 : 1900년설명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학생들이 사용했던 교재이다. 군인들이 내무 생활에서 지켜야할 규칙을 적어놓은 것으로 상급자와 하급자의 위계질서에 따른 호칭과 예의, 군대 복무 규칙 등 군인들의 효율적인 통제를 하기 위하여 편찬된 것이다.

관보

한자 : 官報 제작연도 : 1896년설명 1896년 육군무관학교를 개교하면서 군부에서 학생을 모집한다는 1월 6일자 관보로 육군무관학교 학생의 모집령이 게재되어 있다.

무관학교학생 탄원서

한자 : 武官學校學生 歎願書 제작연도 : 1900년설명  1900년(광무 4) 무관학교에서 기질이 미약하다는 이유로 강제로 퇴학당한 6명의 무관학교 학생들이 학교의 퇴학처분에 대해 불합리하다고 원수부 검사국장에게 직접 올린 탄원서이다. 원수부에서는 이 탄원서에 대해 학교의 소관이라며 돌려 보냈다.

대례견장과 함

한자 : 大禮肩章·函 제작연도 : 대한제국설명 대한제국 시기 장성급이 착용하였던 대례견장과 이를 담는 함이다. 견장에 술이 없는 것으로 보아 상복에 착용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태극 양 옆으로 위관급은 별 1개, 영관급은 별 2개, 장성급은 별 3개로 계급을 구분하였다. 

순종황제 즉위 기념장

한자 : 純宗皇帝 卽位 記念章 제작연도 : 1907년설명 1907년(광무 11년) 8월 27일에 순종황제의 즉위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기념장이다. 앞면에는 꽃잎이 중첩된 이화문과 프로이센의 군모 피켈하우베(Pickelhaube)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대한제국 대황제폐하 즉위예식 기념장 융희 원년 8월 27일’이라고 적혀있다.

대한제국 기념장증서

한자 : 大韓帝國 記念章證書 제작연도 : 1907년설명 순종황제의 즉위를 기념하는 기념장으로 헌병 부위 홍철유(洪哲裕)에게 내린 것이다. 이 기념장증서는 기본 내용을 인쇄한 종이 위에 받는 사람의 소속과 계급, 이름을 적고 직인을 찍어 발행하였다.

고종황제 성수 50주년 기념장

한자 : 高宗皇帝 聖壽 50週年 記念章 제작연도 : 1901년설명 1901년(광무 5) 9월 7일에 고종황제의 탄신 50주년을 맞아 제작된 기념장이다. 앞면에서는 원유관이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대한제국 대황제폐하 성수어십년칭경기념은장 광무 5년 9월 7일’이라고 적혀있다.

민긍호 간찰

한자 : 閔肯鎬 簡札 제작연도 : 대한제국설명 원주 진위대 특무정교로 복무한 민긍호(閔肯鎬, ?~1908)가 강원도 관찰사에게 보낸 간찰이다. 민긍호는 1907년 군대해산 직후 원주진위대의 해산을 거부하고 무기고를 개방하여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관동창의대장이라 이름했으며, 이강년, 이인영 등의 의병군과 합세하여 춘천, 충주, 제천 등지에서 100여차례 이상의 전공을 세우는 등 위세를 떨치기도 했다. 이 간찰은 의병진을 회유하여 해산시키려는 강원도 관찰사 황철(黃銕)의 서한에 대한 답신이다. 황철은 횡성군수 심흥택(沈興澤)을 전달자로 하여 1907년 10월 2차례 왕복하게 했는데 이 간찰은 그 중 1차 서한에 대한 답신이다. 민긍호는 이 간찰에서 회유를 일축하면서 항전의 명분과 국권 회복의 결의를 밝히고 있다. 

Le Petit Journal

박승환 칙명

한자 : 朴昇煥 勅命 제작연도 : 1907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설명 1907년 1월에 박승환을 정2품 가선대부(嘉善大夫)인 참령(參領)에 임명한다는 문서이다. 박승환은 1907년 8월 1일 순종황제의 군대해산 칙령이 내려오자 시위대 1연대 1대대 사무실에서 권총으로 자결하였다. 그는 유서에서 '군인으로서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로서 충성을 다하지 못하였으니 만 번 죽은들 무엇이 아깝겠는가(軍不能守國 臣不能盡忠 萬死無惜)'라는 유서를 남겼다. 박승환 참령의 자결로 그의 부대원들이 격분하여 남대문 등지에서 일본군과 시가전을 벌였다.

의병총(뇌홍식 장총)

한자 : 義兵銃(雷汞式長銃) 제작연도 : 19세기 말~20세기 초설명 의병들이 사용했던 무기이다. 뇌홍식은 뇌홍(雷汞), 즉 화약물질을 폭발시켜 탄환을 발사하는 방식의 총으로 유럽에서 개발된 총이다.

의병충성가

한자 : 義兵忠誠歌 제작연도 : 1920년대설명 의병들의 충성가로 한글과 한문을 혼용하여 작성했다. 의병들의 군가로서 사료적 가치가 높은 유물이다.

임용상 단도

한자 : 林龍相短刀 영어명칭 : Lim, Yong-sang's Sword 제작연도 : 1900년대 초설명 1905년 을사늑약 이후 경상도지역에서 항일운동을 벌인 의병장 임용상(林龍相, 1877∼1958)이 휴대하고 있던 호신용 칼이다. 칼자루 앞뒤에 '임용상'과 '창의(倡義)'라는 한자가 음각되어 있다.

브라우닝 M1900 권총

한자 : 拳銃 영어명칭 : The same pistol that General Ahn Jung-Geun  used in 1909 (DPRK Type 64 Pistol) 제작연도 : 1960년대설명 안중근(安重根, 1879~1910) 장군이 하얼빈 의거 당시 사용한 브라우닝 M1900권총과 동일한 권총이다. 실제로 안중근 장군이 사용한 총은 전하지 않고 있다. 독립군 및 독립운동가들이 많이 사용하였다.

안중근의사 공판기록

한자 : 安重根將軍公判記 영어명칭 : Records of General Ahn Junggeun's Trial 제작연도 : 1946년설명 만츄니치니치신문사의『안중근사건공판속기록(安重根事件公判速記錄)』을 국문으로 번역하여 출간한 책으로 우리나라에서 간행한 최초의 공판기이다.『안중근사건공판속기록』에서는 안중근(安重根, 1879~1910)을 '범인(犯人)'이라고 표기한 것과 달리 이 책에서는 모두 '안중근'으로 표기를 바꾸었다.

Smith&Wesson 38구경 권총

한자 : 拳銃 영어명칭 : S&W 38 DA Revolver 제작연도 : 대한제국설명 Smith&Wesson사에서 제작한 권총으로 탄창이 회전하여 그 안에 있는 탄환이 총열과 일직선 상에 왔을 때 격침이 뇌관을 쳐 발사하게된 회전식 총이다. 안중근(安重根, 1879~1910) 장군이 의거 당시 준비한 예비권총과 동일기종의 권총이다. 독립군 및 독립운동가들이 많이 사용하였다.

청산리전투 보고서

북로군정서훈련교본

신흥학우보

한자 : 新興學友報 영어명칭 : Magazine of the Sinheung Hagudan 제작연도 : 1913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설명 1913년 신흥무관학교 출신의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독립운동단체인 신흥학우단(新興學友團)의 기관지이다. 1913년 7월에 창간되었으며, 이 자료는 제2권 제2호이다.

봉오동전투 약도

한자 : 鳳梧洞戰鬪略圖 영어명칭 : Map of the Bongoh-dong Battle 제작연도 : 1920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설명 봉오동 전투 시에 홍범도(洪範圖, 1868∼1943)의 대한독립군이 이동한 경로를 간략하게 그린 일본군의 작전지도이다. 당시 일본군의 주력부대는 봉오동 상촌의 독립군이 잠복해 있는 포위망 가운데로 들어왔으며, 독립군은 동·서·북 3면에서 일본군을 협공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일선전 성명서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진행계획

우둥불

영어명칭 : Udungbul written by Lee, Beom-seok 제작연도 : 1971년설명 청산리 전투의 주역이자 광복군 참모장, 대한민국 초대 국무총리 겸 국방장관을 역임함 이범석(李範錫, 1900∼1972) 장군의 회고록으로 청산리 대첩을 포함하여 다수의 전투에 참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우둥불은 낙엽이나 검불을 모아 피우는 모닥불의 방언임.

지청천 장군 일기

한자 : 池靑天將軍日記 영어명칭 : The Diary of Gen. Ji, Cheong-cheon 제작연도 : 1950~1956년 작가(소장자) : 개인 소장(복제)설명 한국독립군과 한국광복군의 총사령관으로서 항일독립전쟁을 진두지휘한 지청천(池靑天, 1888∼1957) 장군의 친필일기이다. 일기에는 광복 후 장군의 활동과 과거 독립전쟁 당시 상황에 대한 회고가 담겨 있다.

김구서명태극기

한자 : 金九署名太極旗 영어명칭 : Taegeukgi with Kim, Gu’s Calligraphic Writing 제작연도 : 1941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 문화재 지정 : 등록문화재설명 1941년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벨기에 신부 매우사(미우스 오그)가 미국으로 갈 때 김구 주석에게 받은 국기이다. 바탕  한쪽에 '망국의 설움을 면하려거든, 자유와 행복을 누리려거든, 정력과 인력과 물력을 광복군에게 바쳐 강노말세*인 원수 일본을 타도하고 조국의 광복을 완성하자.'라는 내용을 적고 김구 주석이 서명이 남겨져있다.  *강노말세(强弩末勢)란 강한 쇠뇌화살도 힘이 다하면 얇은 비단조차 뚫을 수 없다는 의미.

육군병과휘장

한자 : 陸軍兵科徽章 영어명칭 : Military Branch Insignias of  Korea Army 제작연도 : 대한민국설명 국군 창설 초기 장교 및 사병의 병과 휘장으로, 1956년 10월 육사박물관 개관 당시 수집되었다. 상징물로만 표현한 것이 장교용이고 원형의 판 위에 상징물을 양각한 것이 병사용이다.

육군부대표지

한자 : 陸軍部隊標識 영어명칭 : Corps Insignias of Korea Army 제작연도 : 대한민국설명 국군 창설 초기의 부대 표지로, 1956년 10월 육사박물관 개관 당시 수집되었다.

육군잡지

한자 :  陸軍誌 영어명칭 : Magazine Yukgun(Army) 제작연도 : 1949년설명 육군의 공식 잡지인 『육군(陸軍)』의 1949년 10월호로 국방부 정훈국에서 발행, 육군본부 고급부관실에서 인쇄하였다. 표지에 이승만(李承晩, 1875~1965) 초대 대통령의 사진을 싣고 '군경의 완전협력은 쌍방의 실력을 배가한다'는 문구를 적었으며, 뒷면에는 군인과 경찰이 차량에 함께 타고 있는 사진과 함께 '대한의 아들, 군경은 형제'라는 문구를 적었다. 본문에는 제3대 육군참모총장 신태영(申泰英, 1891~1959) 장군의 취임사를 서두에 싣고, 육군본부 소속 각 실이 편집한 글을 차례로 수록하였다.

대한민국 육군기

한자 : 大韓民國 陸軍旗 영어명칭 : Flag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제작연도 : 1948년 문화재 지정 : 국가등록문화재설명 1946년 4월 새로 제정된 육군 모표(帽標)가 그려진 대한민국 육군의 초창기 깃발이다. 1946년 1월 남조선 국방경비대가 창설되면서 모표를 새로 제정하여 부착하였으며, 이 때 만들어진 모표가 깃발에 인쇄되어 있다. 이 군기는 유일하게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육군기(陸軍旗)로서 대한민국 육군의 애국심과 굳건한 결속 및 군의 역사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김일성 명령서

한자 : 金日成 命令書 영어명칭 : Order File from Kim, Il-Sung 제작연도 : 1951년설명 김일성이 북한군에게 지시한 명령서이다.이 명령서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전사들은 무기에 정통하고, 군대 규율과 질서를 지킬 것 2. 지휘관들은 현명성을 높일 것 3. 전군은 중국 인민지원 부대와 적극 협동할 것 4. 빨치산은 적의 후방을 최대한 교란할 것

조선인민군총정치국 지령문

한자 : 朝鮮人民軍總政治局指令文 영어명칭 : Order File from North Korean army 제작연도 : 1951년설명 1951년 8월 8일 선포된 제0118호의 지령문이다. 발신은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이며, 수신은 조선인민군 전체 장병 및 빨치산이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쟁의 승리, 혁명적 경각성 제고 1. 애국주의, 영웅주의 발휘를 강력 선동

M1 카빈 소총

한자 : 小銃 영어명칭 : M1 Carbine Rifle 제작연도 : 1940~1960년대설명 1942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에서 개발한 소총으로 주력 소총이었던 M1 개런드 소총의 휴대가 불편하고 무겁다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아 우리 국군이 사용하였다.

PPSH-41 기관단총

한자 : 機關短銃 영어명칭 : Submachine Gun PPSH-41 제작연도 : 1940~1960년대설명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개발되어 6·25전쟁 당시에 북한군이 사용하였다. 흔히 '따발총'이라 불리는 기관단총으로 대량 살상에 유용하였다.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한자 : 重機關銃 영어명칭 : M2 Browning Heavy Machine Gun 제작연도 : 1950~1953년설명 1933년 미국에서 개발된 중기관총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서 맹활약하였으며 6·25전쟁 당시 미군의 주력 기관총으로 사용되었다. 12.7mm 탄환을 사용하기 때문에 관통력과 파괴력이 높다.

106mm 무반동총

한자 : 無反動銃 영어명칭 : 106mm Recoilless Rifle 제작연도 : 1980년설명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105mm 무반동총을 개량 생산한 대전차전용 화기이다. 6·25전쟁 당시 미군이 주로 사용하였다. 이 106mm 무반동총은 대한민국 육군이 1960년대 미국에서 인수한 후 1980년 초 개량 생산한 것으로 2000년대까지 전방에서 실제로 사용하였다.

유관종 부대원 태극기

한자 : 劉官鍾部隊員太極旗 영어명칭 : Taegeukgi of Yu, Gwan-Jung and His Troops 제작연도 : 1950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설명 6·25전쟁 중인 1950년 10월 초 육군 소위 유관종이 호남지구 진격작전 때 사용한 태극기이다. 태극기의 여백에는 여러 사람의 서명이 푸른색과 검은색 펜글씨로 적혀 있다. 가운데에 '정의(正義)'라는 글자가 크게 쓰여 있고, 그 외에도 백두산에 태극기 휘날리겠다는 각오와 무운장구(武運長久)를 염원하는 내용들이 쓰여 있다. 간혹 지명도 기록되어 있어 당시 전투 경로 등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경주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

한자 : 慶州學徒兵署名文太極旗 영어명칭 : Taegeukgi with Calligraphic Writings by Gyeongju Student Soldiers 제작연도 : 1950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설명 6·25전쟁 당시 경주 지역에서 자원한 학도병 용사들의 서명이 적힌 태극기이다. 바탕에는 학도병들이 전장에 나가기 전에 이 태극기에 검은 펜으로 각자 소감을 적었다. 가운데에 '남북통일'이라는 글자가 한자로 크게 쓰여 있다. 그 외에도 '우리의 죽음은 역사의 꽃이 되라', '17세 붉은 피 오직 조국에!', '서라벌의 용사여 잊으랴 화랑정신' 등 6·25전쟁 중 학도병들의 굳은 의지와 각오가 바탕에 가득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조남혁 6·25전쟁 일기

한자 : 趙南赫 韓國戰爭 日記 영어명칭 : Diary of the Korean War, written by Cho, Nam-Hyuk 제작연도 : 1951~1956년 작가(소장자) : 조남혁 기증설명 조남혁은 웅진 학도 유격부대 소속으로 1952년부터 1954년까지 근무하였다. 특히 6·25전쟁 당시 서해 5도 NLL 사수를 위해 13번의 전투를 하였다. 이 유물은 1951년 11월 25일부터 1956년 1월 29일까지의 일기로 6·25전쟁 관련 이야기가 일부 담겨 있다.

노형래 대위 전사통지서

한자 : 盧衡來大尉戰死通知書 영어명칭 : Notification of Killed in Action(Captain Noh, Hyung-Rae) 제작연도 : 1950년 작가(소장자) : 노희재 기증(2009년)설명 이 전사통지서는 육군본부에서 정식으로 발급한 것으로 6·25전쟁 발발 초기 안양에서 전사한 노형래 대위의 전사통지서다.

임춘수 소령이 전선에서 쓴 편지

생도전사자 유품

한자 : 生徒戰死者遺品 영어명칭 : Relics of Cadet who were Killed in Action in The Korean War 제작연도 : 1950년설명 1950년 6월 26일 부평리(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전투에서 전사한 사관생도 유해 2구와 함께 발굴된 유품들이다. 2002년 4월 국방부유해발굴단(75사단)에 의해 유해들은 완전한 상태로 발굴되었고, 철모와 수통, 대검, 신발, M1총탄 등도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김화수 중위 편지

한자 : 金華守 中尉 便紙 제작연도 : 1950년설명 김화수 중위는 육사 9기로 경북 영일 출신이다. 6·25전쟁 당시 보병 제8562부대에 소속되어 활동하다가 전쟁 발발 첫 해에 영천지구 전투에서 장렬히 전사하였다.

소설 '육사 생도 2기'

한자 : 小說'陸士生徒二期' 영어명칭 : Novel '2nd cadet of the Korea Military Academy' 제작연도 : 2000년 작가(소장자) : 박경석 기증설명 생도 2기 출신인 박경석이 집필한 장편실록소설이다. 생도의 신분으로 6·25전쟁을 겪었지만, 애국충정의 외길인생을 살아온 육사 생도 2기생들의삶과 죽음을 그린 작품이다. 

주월한국군사령부 현판

한자 : 駐越韓國軍司令部懸板 영어명칭 : Signboard of Headquarters of Republic of Korea Forces in Vietnam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설명 베트남전쟁 당시 주월한국군사령부 정문에 걸린 현판이다. 주월사령부는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창설되었으며, 1973년 6월 30일까지는 베트남 공화국의 수도 사이공(현재의 호찌민시)에 본부를 두고, 파리 평화협정 이후 철수하였다. 초대 사령관은 수도사단장인 채명신 소장이 겸임했다.

자랑스러운 육사인상

한자 : 陸士人賞 영어명칭 : Proud Korea Military Academy Alumni Association Award 제작연도 : 2010년 작가(소장자) : 육사 생도 2기 동기회 기증설명 6·25전쟁 60주년인 2010년 육사 생도 2기 동기회가 받은 '자랑스러운 육사인상'이다. 이 상은 육사 졸업생 중에서 국가안보와 사회발전에 이바지하였거나, 육사인의 명예를 고양한 동문, 타의 귀감이 되는 선행이나 희생정신을 발휘한 동문을 대상으로 선발해 수여하는 상이다.

BD-96 야전교환

한자 : BD-96 野戰交換機 영어명칭 : BD-96 Field switchboard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설명 미국에서 만든 교환기로 1948년부터 1960년대 말까지 사용한 사단용 자석식 교환기이다. 베트남전쟁에 파병 갔던 대한민국 국군 역시 이 야전교환기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월남 참전부대 마크

한자 : 越南 參戰部隊 標誌 영어명칭 : Mark of the ROK troops for dispatching to the Vietnam War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베트남전쟁 당시 참전했던 한국군 부대들의 마크이다.  - 주월한국군사령부: 주월한국군사령부는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창설되어 1973년 3월 7일, 베트남공화국에서 철수할 때까지 존속하였다. 지름: 38.6- 수도사단(맹호부대): 맹호부대는 대한민국 육군에서 가장 먼저 기계화 편제를 갖춘 사단으로, 1949년 6월 20일 서울 용산에서 수도경비사령부로 창설되었다.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에 참전하면서 많은 공훈을 세운 부대이기도 하다. 크기: 21.5×28.2- 제9사단(백마부대): 백마부대는 1950년 10월 25일 창설된 부대로, 한국전쟁에 참전하였으며 현재 '백마고지'라고 불리는 전투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베트남전쟁에서는 주월한국군 최초의 군단급 작전인 오작교 작전을 맹호부대와 함께 수행하였다.  지름: 24.6- 해병 제2여단(청룡부대): 1965년 베트남 수상의 전투부대 추가 파병 요청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해병 제2연대를 주축으로 하여 해병 제2여단(청룡부대)을 창설하였다. 청룡부대는 1965년 10월 9일부터 1972년 2월 24일까지 짜빈동전투를 비롯하여 승룡·황룡 등 다수의 작전을 수행하였다. 크기: - 건설지원단(비둘기부대): 베트남전쟁 초기 의무대·태권교관단 등으로 구성된 한국군사원조단이 모체로 1965년 9월 25일 주월한국군사령부가 창설됨에 따라 건설지원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주 업무는 각종 교량과 도로 및 공공건물의 신축과 보수, 친선활동 등을 담당하였다. 크기: 21.1×27.5- 100군수사령부(십자성부대): 제100군수사령부는 십자성부대로도 불리는 전투지원부대이다. 1965년 9월 1일 강원도 홍천군에서 군수지원사령부로 창설되어 수도사단에 배속되어 있다가 1966년 제100군수사령부로 개편되어 주월한국군사령부에 배속되었다. 크기: 21.6×28.0- 해군 수송전대(백구부대): 백구부대는 해군의 수송전대이다. 1965년 3월, 건설지원단(비둘기부대) 파병과 함께 LST 1척을 베트남에 파병했던 해군은 추가적인 증편을 통해 부대 규모를 수송전대로 확장하였다. 사이공(Sai Gon)을 모항으로 북쪽은 다낭(Da Nang), 남쪽은 캄보디아 국경 부근의 푸꾸옥(Phu Quoc) 섬에 이르기까지 미군 및 남베트남군과 통합된 수송 임무를 수행했다. 크기: 31.3×24.5- 공군지원단(은마부대): 공군지원단 공군의 최초 해외파병으로서 1865년 공군 참모장교와 전술항공지원반, 공수지원반을 우선 파병하였다. 1966년 제8공수비행대대를 은마부대로 명명해 주월한국군의 공수지원을 담당하다가, 1967년 주월한국군사령부 직할부대로 편성해 공군지원단이 창설되었다.

주월한국군 현황

한자 : 駐越韓國軍 現況 영어명칭 : Bulletin on the ROK troops to Vietnam 제작연도 : 1971년설명 월남전 당시 월남전의 정세와 베트콩의 작전, 인도차이나반도의 정세 등을 포함하여 우방군의 현황과 한국군의 작전 활동 등을 그림과 표로 정리하였다. 

월남전 유공 명패

한자 : 越南戰 遺功 名牌 영어명칭 : Plaque of merit in the Vietnam War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베트남전쟁에 참전하였던 유공자 가족에게 수여한 유공 명패이다. 하단에 초대 주월한국군사령관이었던 육군 중장 채명신 장군과 제2대 사령관이었던 육군 중장 이세호 장군의 명문이 있다.

한월우호 휘호

한자 : 韓越友好 揮毫 영어명칭 : The Wooden Board with the calligraphy of “韓越友好(a Friend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제작연도 : 1972년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이 한국과 남베트남의 우호를 위해 주월한국군사령부에 수여한 휘호이다. 베트남전 참전은 한국의 경제 성장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당시 파병 군인들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외교관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최초의 월남공화국 지원을 위한 국방부 연락장교단의 현지 결과 보고

한자 : 越南共和國 支援을 爲한 國防部派遣 先發隊長의 現地派遣結果報告 및 關聯參考資料 영어명칭 : The First Field Report of Liaison Officer for supporting Vietnam 제작연도 : 1964년설명 베트남전 파병을 위한 이훈섭 선발대장(당시 육군 준장)의 현지 결과 보고문이다. 월남의 현재 상황 및 월남과 베트콩의 전투력 비교 등을 비롯하여, 한국과 월남공화국이 현재 동맹국이 아니라는 점에서 공식 초청을 받아야 한다는 점과 현지 기후에 따른 질병 발생 가능, 작전 지휘권을 한국과 미국 어느 국가에 소속시키는지에 대한 문제점 등을 담고 있다.

월남에 전투부대 파병을 위한 국방부 연락장교단의 현지 결과 보고(제1권)

한자 : 越南共和國에 戰鬪部隊 派兵을 爲한 國防部連絡將校團의 現地派遣結果報告 및 關聯參考資料(第一卷) 영어명칭 : Final Field Report of Liaison Officer for dispatching troops to Vietnam(Volume 1) 제작연도 : 1965년설명 월남전 전투부대 파병을 위해 육군 소장 이세호 장군을 연락단장으로 하여 국군의 연락장교단을 월남 현지에 사전 답사를 위해 파견한다는 내용과 파견 결과 보고이다. 파견 당시의 일정과 파병 지역, 군수지원 체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전투부대 파월 기록(제1차)

한자 : 戰鬪部隊 派越 記錄(第一次) 영어명칭 : Documents on a process for the deployment of troops to Vietnam(1st) 제작연도 : 1965년설명 한국군 전투부대의 제1차 월남전 파병 기록이다. 비둘기부대의 월남전 파병이 결정되자 미국 측은 1965년 7월 6일 주한미군사령부 참모장이었던 'DAVIS' 중장이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이었던 장창국 대장에게 전투부대 파병을 요청하고, 같은 날 주한미군사령관인 드와이트(Dwight E. Beach) 대장이 김성은 국방장관에게 그 내용을 설명하는 문서와 전투부대 파병 승인 과정을 기록한 서류집이다. 

한미실무약정서체결참고철

한자 : 韓美實務約定合書締結參考綴 영어명칭 : Reference papers for the letter of commitment between Korea and the U.S. at working level 제작연도 : 1966년설명 한미보충실무협정서체결 과정이 기록된 참고철로 이훈섭 장군이 체결 과정을 정리한 문서이다. 1965년 11월 20일 미국 측에서 약정서 초안을 제시하였으며 한국 측은 미군 측의 월권 조항을 삭제하고 최종 결정권은 주월한국군사령관에게 있고 미군은 제정적 지원을 지급한다는 내용으로 수정하였다. 이 보충실무약정서는 한국측의 주장이 대체적으로 관철된 과정과 그 내용을 담고 있다. 

대한민국 무공훈장

미육군 훈장

월남참전기장

한자 : 越南參前紀章 영어명칭 : Vietnam Participation Medal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설명 1970년 4월 20일 베트남전에 참전한 주월남공화국한국군사령부소속의 군인 및 군속(군무원), 대공작전을 위한 병력 및 군수물자의 수송 기타 업무에 종사하는 군인 및 군속의 공을 치하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메달의 한쪽 면에는 대한민국 정부를 상징하는 태극을 감싸고 있는 무궁화가 표현되어 있으며, 반대 면에는 한반도부터 인도차이나반도에 이르는 아시아 지도와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가 표현되어 있다.

베트남국가훈장

한자 : 越南國家勳章 영어명칭 : National Order Of Vietnam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남베트남공화국의 국가 훈장으로 1950년 8월 15일에 제정되었다. 앞면 중앙에는 ‘TỔ-QUỐC TRI-ÂN(조국지은)’라고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 훈장은 국가 공로가 깊거나 국가에 봉사한 공로자에게 수여되는 훈장으로 베트남전쟁 당시 공적을 쌓은 미군을 비롯한 참전국 장병들에게 수여하였다.

베트남전 한국군 중대 전술기지

모신나강 저격용 소총

한자 : 狙擊用 小銃 영어명칭 : Mosin Nagant Sniper Rifle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설명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 시절 만들어진 소총으로 대한제국 시절부터 일제강점기시절 당시 독립군, 광복군이 사용하였다. 1950년 6.25전쟁 당시에는 소련의 지원을 받은 북한군이 주무기로 사용했다가 이후 1960년 베트남전쟁에서도 북베트남을 지원하는 소련에 의해 베트콩들이 주무기로 사용하였다.

북한제목판도장인쇄기

한자 : 木版印刷機 영어명칭 : Made in North Korea Wooden Printer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베트남전쟁 당시 파병 임무 수행 중인 국군에 대한 심리전을 목적으로 제작된 북한의 목판인쇄기이다. 북한은 베트콩을 돕기 위해 국군에 대한 심리전을 펼쳤고, 목판인쇄기를 이용하여 심리전단[삐라]을 만들어 살포하였다.

선전전단

한자 : 宣傳傳單 영어명칭 : Propaganda Leaflets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베트남전쟁 당시 북한군이 대한민국 국군을 향해 살포한 심리전단[삐라]이다. 전쟁 상황 속에서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었을 우리 국군 장병들의 마음을 흔들기 위해 사망한 전우와 고향에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문구를 작성하였다. 

월맹제 철질려

한자 : 越盟製 鐵蒺藜 영어명칭 : Iron Thorns of Viet Cong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질려(蒺藜)는 끝이 날카롭고 뾰족한 방어용 무기로서, 적군의 침입을 막기 위해 이동로에 깔았던 끝이 날카롭고 끝이 갈라진 쇠로 만든 무기를 말한다. 베트남전쟁 당시 베트콩들이 우리 국군의 이동을 막고자 이동로나 함정에 철질려를 설치하여 많은 피해를 주었다.

월맹 수류탄

한자 : 越盟 手榴彈 영어명칭 : Grenade of Viet Cong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1973년 4월 1일 주월사에서 노획·기증한 것으로 월맹(베트남)에서 제조한 수류탄으로 참호전이나 접근전에 많이 사용하였다.

국가기록원 베트남전쟁 사진

전쟁기념관 베트남전쟁 사진

월맹 나룻배

한자 : 越盟 渡船 영어명칭 : Boat of Viet Cong 제작연도 : 1973년설명 베트남전쟁 중 베트콩이 수로나 늪지대를 통해 적진에 은밀히 침투할 때 사용했던 나룻배이다. 1973년 4월 맹호부대가 노획하여 귀국 후 육군박물관에 기증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베트콩의 배이다.

베트남공화국기

한자 : 越南共和國旗 영어명칭 : Flag of the Republic of Vietnam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베트남공화국(남베트남)의 국기이다. 1955년 10월 26일부터 1975년 4월 30일까지 북위 17도 베트남 군사분계선 이남에 존재했던 나라이며, 군사분계선 이북의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과 대치하였다.

월맹기(베트남청년혁명동지회기)

한자 : 越盟旗 영어명칭 : Flag of Vietnam Revolutionary Youth League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1960년 12월 20일 남베트남 해방 국민전선이 탄생(NLF) 하자 청년들을 대상으로 탄생한 조직인 베트남 청년 혁명 동지회의 깃발이다. 이 조직은 1973년 호찌민 지도자의 생일을 기념하여 호찌민혁명인민청년동맹으로 명칭이 바뀌었다가 1976년 호찌민노동청년동맹(베트남민주공화국)과 합병되어 호찌민공산청년동맹으로 합병될 때까지 존재했다.

월맹기(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

한자 : 越盟旗 영어명칭 : Flag of National Liberation Front of Vietnam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설명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이 작전 수행 중 노획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의 깃발이다. 상단 좌측에 호찌민의 사진이 있고 깃발 우측 하단에 "독수리-비호 17호 작전 시(68.10.15) 푸캇산 남단 풍타이 지역 동굴 수색 중 1연대 1대대 1중대 수색조에 의해서 노획"했다는 명문이 있다. 이 깃발은 1975년 베트남공화국이 멸망하면서 건국된 남베트남공화국기로 사용되었는데 남베트남공화국은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의 괴뢰 국가이기도 하다.

122mm 로켓발사기

한자 : 122mm 發射器 영어명칭 : 122mm Rocket Lacuncher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설명 1960년대 개발된 소련의 다연장로켓 발사기 시스템(BM-21 그라드) 중 로켓발사기를 분리하여 휴대용발사기로 사용한 로켓발사기이다. 이 분리 시스템은 베트남전쟁 중 개발되었고, 발사기를 다시 합쳐 다연장로켓 발사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유엔기

한자 : 國際聯合旗 영어명칭 : The United Nations Flag 제작연도 : 2000년대설명 1946년도에 창설한 국제연합 기구의 깃발이다. 북극에서 본 세계지도를 올리브나무의 가지와 잎이 감싼 모양을 하고 있다. 군사작전에서 국제연합기를 사용할 때는 국제연합으로부터 사용허가를 얻었을 때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육군 야전상의 및 장구류

한자 : 陸軍 野戰上衣٠裝具類 영어명칭 : Field Jacket and Equipments of the Korea Army 제작연도 : 2010년대설명 2010년대부터 대한민국 육군 장병들에게 보급된 야전상의 및 장구류이다.

육군 활동복

국방경비대 제1연대기

한자 : 國防警備隊 第一聯隊旗 영어명칭 : Flag of the 1st Korean Constabulary Regiment 제작연도 : 1948년 경 작가(소장자)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이관(2020년)설명 대한민국 육군의 모체로서 현재의 태릉지역에서 창설된 국방경비대 제1연대의 부대기이다. 검은색 바탕에 그려진 무궁화 잎 안쪽으로 부대의 상징인 호랑이가 전통적 도안으로 자수되어 있으며, 그 주위를 3개의 별이 둘러싸고 있다. 미군정하에서 남한에 군대를 조직하기 위하여 당시 미 군정청 국방사령부 고문인 이응준(李應俊, 1891~1985) 장군의 조언을 받아 뱀부계획(Bamboo Plan)이 마련되었다. 뱀부계획은 도마다 1개 연대, 총 8개 연대를 창설하는 것이었으며, 이후 제주도가 도(道)로 승격되자 제9연대까지 창설되었다. 뱀부계획에 따라 1946년 1월 15일에 국방경비대가 창설되어 현재 육군사관학교가 위치한 태릉 지역에 제1연대 제1대대 A중대가 들어서게 되었으며, 2월 초 편성이 완료된 3개 중대를 기간으로 제1대대가 편성, 초대 대대장으로 채병덕(蔡秉德, 1914~1950) 참령(參領)이 임명되었다.

제1군사령부기

한자 : 第一軍司令部旗 영어명칭 : Flag of the 1st Field Army Command 작가(소장자) : 입수(1960년)설명 1960년에 입수한 제1군사령부기이다. 제1군사령부는 6·25전쟁 후 증강된 육군 조직의 합리적 지휘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1953년 12월 15일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에서 한국 최초의 야전군으로서 창설되었으며 초대 지휘관은 백선엽(白善燁, 1920~2020) 대장이었다. 1954년 7월 15일 사령부를 원주로 이전하였다. 이 부대기는 적색과 남색 바탕 위에 숫자 1을 담은 연두색의 팔각형이 자수되어 있다. 하단에는 한글로 ‘제1군사’를 적었다.

제2군사령부기

한자 : 第二軍司令部旗 영어명칭 : Flag of the 2nd Field Army Command 작가(소장자) : 입수(1960년)설명 1960년에 입수한 제2군사령부기이다. 제2군사령부는 육군의 후방지원을 원활히 하기 위해 1954년 10월 31일 대구에서 창설되었으며, 초대 사령관은 강문봉(姜文奉, 1923~1988) 중장이었다. 2007년 제2작전사령부로 재편되었다. 이 부대기는 남색 바탕의 중앙에 영문 'A'와 숫자 2를 겹친 모양이 도안되었으며 하단에 한글로 '제2군사령부'를 적었다.

제3야전군사령부기

한자 : 第三野戰軍司令部旗 영어명칭 : Flag of the 3rd Field Army Command 작가(소장자) : 입수(1960년)설명 2019년에 수집한 제3군사령부의 구(舊) 정기이다. 제3야전군사령부는 1973년 귀국한 주월한국군을 일부 증편하여 창설되었으며 경기도 및 수도권을 비롯한 서부 축선 방위를 담당하였다. 당시 제2대 주월사령관이었던 이세호(李世鎬, 1925~2013) 대장이 그대로 이임하여 제3군의 초대사령관으로 취임하였다.

육군사관학교기

한자 : 陸軍士官學校旗 영어명칭 : Flag of Korea Military Academy 제작연도 : 1950년대 작가(소장자) : 입수(1960년)설명 1950~1960년대에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육군사관학교의 교기[정기]이다. 육군사관학교는 1946년 5월 1일 이형근(李亨根, 1920~2002) 장군을 초대 학교장으로 하여 대한민국 국군의 발상지인 태릉 지역에서 조선경비사관학교로 창설되었으며, 1948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부대기와 그 안에 도안된 모표는 모두 1953년에 제정된 것이다. 모표의 태극은 대한민국을, 백색의 삼원은 삼천리 강토와 겨레를, 별은 육군의 정예장교 양성을 의미하며 월계수와 리본은 영광과 승리, 단결과 결속을, 방패의 백십자는 상무적 호국정신을 표현한 것이다.

육군정복

한자 : 陸軍正服 영어명칭 : Army Dress Uniform 제작연도 : 대한민국 작가(소장자) : 지일환 장군 기증(2008년) 설명 제30대 육군사관학교장 지일환 장군(재임: 1985.2.25.~1986. 1.16.)의 정복이다. 1980년대 초창기 육군의 정복은 기본적으로 미군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나 1970년대부터 의전용 복장에 우리의 정체성을 담으려고 노력하였다. 2017년 「군인복제령」 일부 개정을 통해 정복과 예복을 통합하고 소매의 장식을 검은색에서 금색의 무궁화잎 수장으로 바꾸어 두르도록 하였다. 정복과 예복은 견장, 넥타이 색상 등을 달리하여 구별하였다.

제2전시실

제 2 전시실에서는 대한제국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한제국 군대의 개혁과 일제강점기의 항일, 창군 이후 대한민국 육군의 활약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요 사건을 중심으로 전시하였다. 창군 이후 최초의 전투인 한국전쟁을 비롯하여, 첫 해외파병인 베트남전쟁 참전, 그리고 현재 육군의 모습까지 관련 유물과 무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광복군예비대 문서

한자 : 韓國光復軍豫備隊文書 영어명칭 : Documents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Reserve 제작연도 : 1945~1946년설명 1945년8월 광복을 전후로 국내에서 조직된 한국광복군예비대의 자료이다. '국어로 제정된 학교교련호령', '격문', '우리정부27년약사'의 총 3점의 문서가 합철되어 있다. 이 유물은 1972년 옛 서울시청 건물 창고에서 발견되어 다른 관련 유물과 함께 일괄 수습된 것이다

미군정 일반고시 제1호

한자 : 美軍政一般告示 第一號 영어명칭 : General Notice No.1 of US Military Goverment in Korea 제작연도 : 1945년설명 1945년 10월 공포된 미군정 일반고시 제1호 '미곡의 자유시장(FREE MARKET IN RICE)' 문서이다. 미군정은 이 고시를 통해 일제가 1942년 이후 실시해오던 식량통제정책을 해제함으로써 당시 남한의 식량부족 상태를 해결하고자 했다.

육군본부 모형도

한자 : 陸軍本部模型 영어명칭 : Army Headquarters Diorama 제작연도 : 1980년대설명 1989년 7월 5일 육군본부가 계룡대로 이전하기 전까지 주둔했던 용산 시기 시절의 건물 모형이다.

한빛부대 11진·12진 기념앨범

정일권 장군 유품

한자 : 丁一權將軍遺品 영어명칭 : Keepsakes of General Chung, Il-Kwon 제작연도 : 1950년대 작가(소장자) : 정일권 장군 기증(1968년)설명 정일권(丁一權, 1917~1994) 장군이 사용한 참모총장 명패, 지휘봉, 제2사단장 철모, 권총 요대이다. 그는 창군 주역 중 1인으로 6·25전쟁 직후 육·해·공군 총사령관이 되었고, 제5대와 8대 육군참모총장(1950~1951, 1954~1956), 제2대 연합참모본부총장(1956~1957) 등을 역임했다.

new Tag

자주독립의 상징 , 태극기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 , 한국광복군

자주국방의 시작, 육군의 탄생

베트남 파병

유엔 평화유지군

동명,아크,한빛

korea army master

한자 : 鎭衛部隊長印
제작연도 : 대한제국
작가(소장자) : 국립중앙박물관

설명
1895년(고종 32) 9월에 지방의 질서유지와 변경수비를 목적으로 설치된 최초의 근대적 지방군대인 진위대 중 원주지방에 주둔했던 진위대 5대대(원주진위대)의 부대장 관인이다. '진위보병제5대대장장(鎭衛步兵第伍大隊長章)'이라 적여 있다.
한자 : 鎭衛部隊長印
제작연도 : 대한제국
작가(소장자) : 국립중앙박물관

설명
1895년(고종 32) 9월에 지방의 질서유지와 변경수비를 목적으로 설치된 최초의 근대적 지방군대인 진위대 중 원주지방에 주둔했던 진위대 5대대(원주진위대)의 부대장 관인이다. '진위보병제5대대장장(鎭衛步兵第伍大隊長章)'이라 적여 있다.
한자 : 鎭衛部隊長印
제작연도 : 대한제국
작가(소장자) : 국립중앙박물관

설명
1895년(고종 32) 9월에 지방의 질서유지와 변경수비를 목적으로 설치된 최초의 근대적 지방군대인 진위대 중 원주지방에 주둔했던 진위대 5대대(원주진위대)의 부대장 관인이다. '진위보병제5대대장장(鎭衛步兵第伍大隊長章)'이라 적여 있다.
한자 : 統衛部官印
영어명칭 : Official Seal of Department of Internal Security
제작연도 : 1945~1950년

설명
통위부(統衛部) 관인이다. 통위부는 1946년 3월 미 군정청 산하에 설립된 남한의 군사 담당부서로 대한민국 국방부의 전신이다.
한자 : 統衛部官印
영어명칭 : Official Seal of Department of Internal Security
제작연도 : 1945~1950년

설명
통위부(統衛部) 관인이다. 통위부는 1946년 3월 미 군정청 산하에 설립된 남한의 군사 담당부서로 대한민국 국방부의 전신이다.
한자 : 統衛部官印
영어명칭 : Official Seal of Department of Internal Security
제작연도 : 1945~1950년

설명
통위부(統衛部) 관인이다. 통위부는 1946년 3월 미 군정청 산하에 설립된 남한의 군사 담당부서로 대한민국 국방부의 전신이다.
한자 : 統衛部官印
영어명칭 : Official Seal of Department of Internal Security
제작연도 : 1945~1950년

설명
통위부(統衛部) 관인이다. 통위부는 1946년 3월 미 군정청 산하에 설립된 남한의 군사 담당부서로 대한민국 국방부의 전신이다.
한자 : 陸軍本部作戰命令
영어명칭 : Operation Order of Repo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제작연도 : 1950년
작가(소장자) : 육군기록정보관리단(복제)

설명
한국전쟁 당시 육군본부에서 내린 작전명령서이다.
1. 제91호: 1950년 7월 31일, 국군 제1군단과 제2군단에게 북한군을 저지하기 위해 낙동강 남쪽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
2. 제94호: 1950년 8월 2일, 국군 제1군단과 제2군단에게 1950년 8월 3일 야간까지 X선으로 이동하여 북한군의 남진 저지를 지시.
3. 제119호: 1950년 8월 11일, 국군 제2군단 예하 제1사단에게 Y선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
한자 : 陸軍本部作戰命令
영어명칭 : Operation Order of Repo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제작연도 : 1950년
작가(소장자) : 육군기록정보관리단(복제)

설명
한국전쟁 당시 육군본부에서 내린 작전명령서이다.
1. 제91호: 1950년 7월 31일, 국군 제1군단과 제2군단에게 북한군을 저지하기 위해 낙동강 남쪽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
2. 제94호: 1950년 8월 2일, 국군 제1군단과 제2군단에게 1950년 8월 3일 야간까지 X선으로 이동하여 북한군의 남진 저지를 지시.
3. 제119호: 1950년 8월 11일, 국군 제2군단 예하 제1사단에게 Y선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
한자 : 陸軍本部作戰命令
영어명칭 : Operation Order of Repo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제작연도 : 1950년
작가(소장자) : 육군기록정보관리단(복제)

설명
한국전쟁 당시 육군본부에서 내린 작전명령서이다.
1. 제91호: 1950년 7월 31일, 국군 제1군단과 제2군단에게 북한군을 저지하기 위해 낙동강 남쪽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
2. 제94호: 1950년 8월 2일, 국군 제1군단과 제2군단에게 1950년 8월 3일 야간까지 X선으로 이동하여 북한군의 남진 저지를 지시.
3. 제119호: 1950년 8월 11일, 국군 제2군단 예하 제1사단에게 Y선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
한자 : 階級章
영어명칭 : Military Rank Badge
제작연도 : 1950~1953년

설명
대한민국 국군이 6·25전쟁 당시 사용했던 병사~부사관, 위관~영관의 계급장이다.
한자 : 階級章
영어명칭 : Military Rank Badge
제작연도 : 1950~1953년

설명
대한민국 국군이 6·25전쟁 당시 사용했던 병사~부사관, 위관~영관의 계급장이다.
한자 : 階級章
영어명칭 : Military Rank Badge
제작연도 : 1950~1953년

설명
대한민국 국군이 6·25전쟁 당시 사용했던 병사~부사관, 위관~영관의 계급장이다.
한자 : 階級章
영어명칭 : Military Rank Badge
제작연도 : 1950~1953년

설명
대한민국 국군이 6·25전쟁 당시 사용했던 병사~부사관, 위관~영관의 계급장이다.
한자 : 階級章
영어명칭 : Military Rank Badge
제작연도 : 1950~1953년

설명
대한민국 국군이 6·25전쟁 당시 사용했던 병사~부사관, 위관~영관의 계급장이다.
한자 : 階級章
영어명칭 : Military Rank Badge
제작연도 : 1950~1953년

설명
대한민국 국군이 6·25전쟁 당시 사용했던 병사~부사관, 위관~영관의 계급장이다.
한자 : 階級章
영어명칭 : Military Rank Badge
제작연도 : 1950~1953년

설명
대한민국 국군이 6·25전쟁 당시 사용했던 병사~부사관, 위관~영관의 계급장이다.
한자 : 階級章
영어명칭 : Military Rank Badge
제작연도 : 1950~1953년

설명
대한민국 국군이 6·25전쟁 당시 사용했던 병사~부사관, 위관~영관의 계급장이다.
한자 : 階級章
영어명칭 : Military Rank Badge
제작연도 : 1950~1953년

설명
대한민국 국군이 6·25전쟁 당시 사용했던 병사~부사관, 위관~영관의 계급장이다.
한자 : 越南戰鬪寫眞
영어명칭 : Photos of military operations in the Vietnam War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베트남전쟁 당시 훈련 및 작전 수행을 하는 대한민국 국군의 사진이다.
한자 : 越南戰鬪寫眞
영어명칭 : Photos of military operations in the Vietnam War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베트남전쟁 당시 훈련 및 작전 수행을 하는 대한민국 국군의 사진이다.
한자 : 姜在求 少領 彫刻像·任官斑指
영어명칭 : Major Kang, Jae-gu's Statue and Military Academy class ring
제작연도 : 1966년

설명
육사 16기 강재구 소령(1937~1965)의 조각상과 육군사관학교 임관반지이다. 그는 월남파병 결정 당시 육군 대위로 수도사단 1연대 3대대 10중대장의 보임을 맞고 있었다. 파병을 앞두고 수류탄 훈련 중 중대원의 실수로 수류탄 사고가 발생하자 자신의 몸을 던져 중대원을 구하고 산화(散花)하였다. 후에 그의 희생정신을 높게 사 소령으로 1계급 추서되었다. 이 조각상은 육군박물관 정문에 설치된 것과 같은 형태로 육군사관학교는 강재구 소령의 희생정신을 높게 사 재구의식을 포함하여 재구상 시상 등 다양한 형태로 그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있다.
한자 : 姜在求 少領 彫刻像·任官斑指
영어명칭 : Major Kang, Jae-gu's Statue and Military Academy class ring
제작연도 : 1966년

설명
육사 16기 강재구 소령(1937~1965)의 조각상과 육군사관학교 임관반지이다. 그는 월남파병 결정 당시 육군 대위로 수도사단 1연대 3대대 10중대장의 보임을 맞고 있었다. 파병을 앞두고 수류탄 훈련 중 중대원의 실수로 수류탄 사고가 발생하자 자신의 몸을 던져 중대원을 구하고 산화(散花)하였다. 후에 그의 희생정신을 높게 사 소령으로 1계급 추서되었다. 이 조각상은 육군박물관 정문에 설치된 것과 같은 형태로 육군사관학교는 강재구 소령의 희생정신을 높게 사 재구의식을 포함하여 재구상 시상 등 다양한 형태로 그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있다.
한자 : 姜在求 少領 彫刻像·任官斑指
영어명칭 : Major Kang, Jae-gu's Statue and Military Academy class ring
제작연도 : 1966년

설명
육사 16기 강재구 소령(1937~1965)의 조각상과 육군사관학교 임관반지이다. 그는 월남파병 결정 당시 육군 대위로 수도사단 1연대 3대대 10중대장의 보임을 맞고 있었다. 파병을 앞두고 수류탄 훈련 중 중대원의 실수로 수류탄 사고가 발생하자 자신의 몸을 던져 중대원을 구하고 산화(散花)하였다. 후에 그의 희생정신을 높게 사 소령으로 1계급 추서되었다. 이 조각상은 육군박물관 정문에 설치된 것과 같은 형태로 육군사관학교는 강재구 소령의 희생정신을 높게 사 재구의식을 포함하여 재구상 시상 등 다양한 형태로 그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있다.
한자 : 金顯泳 大尉 片紙·寫眞
영어명칭 : Captain Kim, Hyeon-yeong's letters and photos
제작연도 : 1966년

설명
김현영 대위는 육사 19기로 임관 후 베트남전쟁 당시 맹호부대 기갑연대 제1중대 화기 소대장으로 작전 수행 중 1966년 1월 13일 월남 퀴논 북방 30km 지점에서 지뢰 폭발로 전사하였다. 이 유품은 김현영 대위 아버지가 김현영 대위에게 보낸 편지와 김현영 대위가 부모님에게 보낸 편지, 그리고 사진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후 1계급 특진과 인헌무공훈장이 추서되었다.
한자 : 金顯泳 大尉 片紙·寫眞
영어명칭 : Captain Kim, Hyeon-yeong's letters and photos
제작연도 : 1966년

설명
김현영 대위는 육사 19기로 임관 후 베트남전쟁 당시 맹호부대 기갑연대 제1중대 화기 소대장으로 작전 수행 중 1966년 1월 13일 월남 퀴논 북방 30km 지점에서 지뢰 폭발로 전사하였다. 이 유품은 김현영 대위 아버지가 김현영 대위에게 보낸 편지와 김현영 대위가 부모님에게 보낸 편지, 그리고 사진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후 1계급 특진과 인헌무공훈장이 추서되었다.
한자 : 張昭吉 少領 遺品
영어명칭 : Relics of Major Jang, So-gil
제작연도 : 1970년대
작가(소장자) : 정진우 기증(1996년)

설명
장소길 소령(1945~1971)은 육군사관학교 25기로 임관 후 1970년 베트남전쟁 당시 백마부대 1중대 2소대장으로 참전했다가, 1971년 4월 위기에 빠진 1소대를 지원하는 작전 수행 중 전사했다.
한자 : 張昭吉 少領 遺品
영어명칭 : Relics of Major Jang, So-gil
제작연도 : 1970년대
작가(소장자) : 정진우 기증(1996년)

설명
장소길 소령(1945~1971)은 육군사관학교 25기로 임관 후 1970년 베트남전쟁 당시 백마부대 1중대 2소대장으로 참전했다가, 1971년 4월 위기에 빠진 1소대를 지원하는 작전 수행 중 전사했다.
한자 : 張昭吉 少領 遺品
영어명칭 : Relics of Major Jang, So-gil
제작연도 : 1970년대
작가(소장자) : 정진우 기증(1996년)

설명
장소길 소령(1945~1971)은 육군사관학교 25기로 임관 후 1970년 베트남전쟁 당시 백마부대 1중대 2소대장으로 참전했다가, 1971년 4월 위기에 빠진 1소대를 지원하는 작전 수행 중 전사했다.
한자 : 蔡命新將軍 戰鬪服·拳銃
영어명칭 : General Chae, Myung-sin's Combat Uniform and Pistol
제작연도 : 1976년
작가(소장자) : 채명신 장군 기증(1976년)

설명
주월한국군 초대 사령관이었던 채명신 장군의 전투복과 권총이다. 채명신 장군은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작고 후 파월장병 곁에 묻어달라는 유언에 따라 장군 묘역이 아닌 국립서울현충원 2번 사병 묘역에 안장되었다.
한자 : 蔡命新將軍 戰鬪服·拳銃
영어명칭 : General Chae, Myung-sin's Combat Uniform and Pistol
제작연도 : 1976년
작가(소장자) : 채명신 장군 기증(1976년)

설명
주월한국군 초대 사령관이었던 채명신 장군의 전투복과 권총이다. 채명신 장군은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작고 후 파월장병 곁에 묻어달라는 유언에 따라 장군 묘역이 아닌 국립서울현충원 2번 사병 묘역에 안장되었다.
한자 : 軍人寫眞
영어명칭 : Photographer Ra, Mi-Hyun's work
작가(소장자) : 라미현 작가 기증(2020년)

설명
라미현 작가가 2020년에 대한민국 군인들을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라미현 작가는 현재까지 세계 68개 도시를 찾아 1,500여 명의 한국전 참전용사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한자 : 軍人寫眞
영어명칭 : Photographer Ra, Mi-Hyun's work
작가(소장자) : 라미현 작가 기증(2020년)

설명
라미현 작가가 2020년에 대한민국 군인들을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라미현 작가는 현재까지 세계 68개 도시를 찾아 1,500여 명의 한국전 참전용사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한자 : 軍人寫眞
영어명칭 : Photographer Ra, Mi-Hyun's work
작가(소장자) : 라미현 작가 기증(2020년)

설명
라미현 작가가 2020년에 대한민국 군인들을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라미현 작가는 현재까지 세계 68개 도시를 찾아 1,500여 명의 한국전 참전용사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한자 : 軍人寫眞
영어명칭 : Photographer Ra, Mi-Hyun's work
작가(소장자) : 라미현 작가 기증(2020년)

설명
라미현 작가가 2020년에 대한민국 군인들을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라미현 작가는 현재까지 세계 68개 도시를 찾아 1,500여 명의 한국전 참전용사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한자 : 銀國軍服揷畫
영어명칭 : Argentine Military Uniform Illustration
제작연도 : 1800년대

설명
1800년대 아르헨티나 군대의 복식을 그린 스케치이다. 당시 아르헨티나는 스페인 식민 지배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스페인 군복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한자 : 銀國軍服揷畫
영어명칭 : Argentine Military Uniform Illustration
제작연도 : 1800년대

설명
1800년대 아르헨티나 군대의 복식을 그린 스케치이다. 당시 아르헨티나는 스페인 식민 지배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스페인 군복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Le Petit Journal

한자 : 佛蘭西 新聞
제작연도 : 1907년설명
1907년헤이그 특사 파견을 구실로 일본은 순종황제로 하여금 강제로 군대해산을 선포하게 하였다. 이 프랑스 신문은 1907년 8월 4일 일본의 강제 군대해산에 항거해 남대문 등지에서 일본군과 전투 장면을 그린 삽화이다. 이 전투로 다수의 대한제국군이 사망하였으며 살아남은 상당수의 군인은 의병활동해 합류해 독립군과 광복군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한자 : 靑山里戰鬪報告書
영어명칭 : Japan's Report of the Cheongsan-ri Battle
제작연도 : 1920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

설명
1920년 11월 22일 간도 일본 총영사관이 작성한 청산리전투에 대한 보고서이다. 김좌진(金佐鎭, 1889∼1930), 홍범도(洪範圖, 1868∼1943) 부대의 이동과 전투 전후 행적 등에 대해 조사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한자 : 靑山里戰鬪報告書
영어명칭 : Japan's Report of the Cheongsan-ri Battle
제작연도 : 1920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

설명
1920년 11월 22일 간도 일본 총영사관이 작성한 청산리전투에 대한 보고서이다. 김좌진(金佐鎭, 1889∼1930), 홍범도(洪範圖, 1868∼1943) 부대의 이동과 전투 전후 행적 등에 대해 조사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한자 : 北路軍政署訓練敎本
영어명칭 : Bukrokunjungseo Training Manual
제작연도 : 1920년대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

설명
신흥무관학교 출신으로 같은 학교의 교관을 지내고 북로군정서에서 여단장으로 활동한 최해(崔海, 1895∼1948)가 쓴 북로군정서군 훈련교본이다.
한자 : 北路軍政署訓練敎本
영어명칭 : Bukrokunjungseo Training Manual
제작연도 : 1920년대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

설명
신흥무관학교 출신으로 같은 학교의 교관을 지내고 북로군정서에서 여단장으로 활동한 최해(崔海, 1895∼1948)가 쓴 북로군정서군 훈련교본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일선전 성명서

한자 : 大韓民國臨時政府對日宣戰聲明書
영어명칭 :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s Declaration of War against Japan
제작연도 : 1941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

설명
일제가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을 일으키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연합국의 일원으로 일본에 선전포고한 것을 밝힌 문서다. 반침략 전선에 참가, 공동항일전선 진출,‘한일강제병합조약 및 일체의 불평등조약 무효 선언, 반침략전선 가담국가의 합리적 기득권익 존중’등이 주요 내용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진행계획

한자 : 大韓民國臨時政府 軍事進行計劃
영어명칭 : Military Action Pla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제작연도 : 1945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

설명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한국광복군을 기반으로 수립한 군사진행계획
이다. 중국정부와 공동작전을 전개하여 독립전쟁을 수행하고 광복을 쟁취한다는 등 총 16개 항으로 구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진행계획

한자 : 大韓民國臨時政府 軍事進行計劃
영어명칭 : Military Action Pla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제작연도 : 1945년
작가(소장자) : 독립기념관(복제)

설명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한국광복군을 기반으로 수립한 군사진행계획

이다. 중국정부와 공동작전을 전개하여 독립전쟁을 수행하고 광복을 쟁취한다는 등 총 16개 항으로 구성되었다.
한자 : 林春秀少領片紙
영어명칭 : Letter Written by Major Lim, Choon-Soo
제작연도 : 1951년
작가(소장자) : DMZ박물관(복제)

설명
임춘수 소령은 6·25전쟁 당시 7사단 5연대 통신부대장이었으며, 1951년 7월 초 강원도 양구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의 가족들은 그해 겨울 전사소식과 함께 그가 전사 직전까지 품속에 간직하고 있던 자식들의 사진과 이 편지들을 유품으로 전해 받았다. 그가 남긴 편지에는 전쟁과는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유머와 자식들의 사진을 본 기쁨을 표현했으며 포화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특히 가족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과 걱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한자 : 林春秀少領片紙
영어명칭 : Letter Written by Major Lim, Choon-Soo
제작연도 : 1951년
작가(소장자) : DMZ박물관(복제)

설명
임춘수 소령은 6·25전쟁 당시 7사단 5연대 통신부대장이었으며, 1951년 7월 초 강원도 양구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의 가족들은 그해 겨울 전사소식과 함께 그가 전사 직전까지 품속에 간직하고 있던 자식들의 사진과 이 편지들을 유품으로 전해 받았다. 그가 남긴 편지에는 전쟁과는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유머와 자식들의 사진을 본 기쁨을 표현했으며 포화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특히 가족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과 걱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한자 : 大韓民國 武功勳章
영어명칭 : The ROK Order of Military Merit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무공훈장은 1950년 10월 18일 1∼4등 무공훈장으로 구분되어 제정되었다. 이후 1951년 5월 21일 1차 개정을 통해 태극·을지·충무·화랑 무공훈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 12월 14일 2차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4등급에서 인헌무공훈장이 추가되어 5등급 체계로 수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무공포장은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을 세운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勳章) 다음가는 훈격으로 1949년 6월 제정된 방위포장이, 1967년 1월 16일 무공포장과 보국포장으로 나뉘면서 신설되었다. 등급은 없으며, 각 훈장의 이름에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나 무궁화대훈장에 대응하는 포장은 없다.
한자 : 大韓民國 武功勳章
영어명칭 : The ROK Order of Military Merit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무공훈장은 1950년 10월 18일 1∼4등 무공훈장으로 구분되어 제정되었다. 이후 1951년 5월 21일 1차 개정을 통해 태극·을지·충무·화랑 무공훈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 12월 14일 2차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4등급에서 인헌무공훈장이 추가되어 5등급 체계로 수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무공포장은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을 세운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勳章) 다음가는 훈격으로 1949년 6월 제정된 방위포장이, 1967년 1월 16일 무공포장과 보국포장으로 나뉘면서 신설되었다. 등급은 없으며, 각 훈장의 이름에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나 무궁화대훈장에 대응하는 포장은 없다.
한자 : 大韓民國 武功勳章
영어명칭 : The ROK Order of Military Merit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무공훈장은 1950년 10월 18일 1∼4등 무공훈장으로 구분되어 제정되었다. 이후 1951년 5월 21일 1차 개정을 통해 태극·을지·충무·화랑 무공훈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 12월 14일 2차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4등급에서 인헌무공훈장이 추가되어 5등급 체계로 수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무공포장은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을 세운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勳章) 다음가는 훈격으로 1949년 6월 제정된 방위포장이, 1967년 1월 16일 무공포장과 보국포장으로 나뉘면서 신설되었다. 등급은 없으며, 각 훈장의 이름에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나 무궁화대훈장에 대응하는 포장은 없다.
한자 : 大韓民國 武功勳章
영어명칭 : The ROK Order of Military Merit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무공훈장은 1950년 10월 18일 1∼4등 무공훈장으로 구분되어 제정되었다. 이후 1951년 5월 21일 1차 개정을 통해 태극·을지·충무·화랑 무공훈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 12월 14일 2차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4등급에서 인헌무공훈장이 추가되어 5등급 체계로 수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무공포장은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을 세운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勳章) 다음가는 훈격으로 1949년 6월 제정된 방위포장이, 1967년 1월 16일 무공포장과 보국포장으로 나뉘면서 신설되었다. 등급은 없으며, 각 훈장의 이름에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나 무궁화대훈장에 대응하는 포장은 없다.
한자 : 大韓民國 武功勳章
영어명칭 : The ROK Order of Military Merit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무공훈장은 1950년 10월 18일 1∼4등 무공훈장으로 구분되어 제정되었다. 이후 1951년 5월 21일 1차 개정을 통해 태극·을지·충무·화랑 무공훈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 12월 14일 2차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4등급에서 인헌무공훈장이 추가되어 5등급 체계로 수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무공포장은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을 세운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勳章) 다음가는 훈격으로 1949년 6월 제정된 방위포장이, 1967년 1월 16일 무공포장과 보국포장으로 나뉘면서 신설되었다. 등급은 없으며, 각 훈장의 이름에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나 무궁화대훈장에 대응하는 포장은 없다.
한자 : 大韓民國 武功勳章
영어명칭 : The ROK Order of Military Merit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무공훈장은 1950년 10월 18일 1∼4등 무공훈장으로 구분되어 제정되었다. 이후 1951년 5월 21일 1차 개정을 통해 태극·을지·충무·화랑 무공훈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 12월 14일 2차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4등급에서 인헌무공훈장이 추가되어 5등급 체계로 수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무공포장은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을 세운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勳章) 다음가는 훈격으로 1949년 6월 제정된 방위포장이, 1967년 1월 16일 무공포장과 보국포장으로 나뉘면서 신설되었다. 등급은 없으며, 각 훈장의 이름에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나 무궁화대훈장에 대응하는 포장은 없다.
한자 : 美陸軍勳章
영어명칭 : U.S. Army Medal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수훈근무십자훈장 殊勳勤務十字勳章 Distinguished Service Cross (1918.7.9. 제정)
·수훈근무훈장 殊勳功勳勳章 Distinguished Service Medal (1918.7.9. 제정)
·은성훈장 銀星勳章 Silver Star Medal (1918.7.9. 제정)
·공로훈장 功勞勳章 Legion of Merit (1942.7.20. 제정)
·항공훈장 航空勳章 Air Medal (1942.5.11. 제정)
·육군공로훈장 陸軍功勞勳章 Army Commendation Medal (1945.12.18. 제정)
 국방근무기장 國防勤務記章 National Defense Service Medal (1953.4.22. 제정)
·합동근무공로훈장 合同勤務功勞勳章 Joint Service Achievement Medal(1963.6.2. 제정)
한자 : 美陸軍勳章
영어명칭 : U.S. Army Medal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수훈근무십자훈장 殊勳勤務十字勳章 Distinguished Service Cross (1918.7.9. 제정)
·수훈근무훈장 殊勳功勳勳章 Distinguished Service Medal (1918.7.9. 제정)
·은성훈장 銀星勳章 Silver Star Medal (1918.7.9. 제정)
·공로훈장 功勞勳章 Legion of Merit (1942.7.20. 제정)
·항공훈장 航空勳章 Air Medal (1942.5.11. 제정)
·육군공로훈장 陸軍功勞勳章 Army Commendation Medal (1945.12.18. 제정)
 국방근무기장 國防勤務記章 National Defense Service Medal (1953.4.22. 제정)
·합동근무공로훈장 合同勤務功勞勳章 Joint Service Achievement Medal(1963.6.2. 제정)
한자 : 美陸軍勳章
영어명칭 : U.S. Army Medal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수훈근무십자훈장 殊勳勤務十字勳章 Distinguished Service Cross (1918.7.9. 제정)
·수훈근무훈장 殊勳功勳勳章 Distinguished Service Medal (1918.7.9. 제정)
·은성훈장 銀星勳章 Silver Star Medal (1918.7.9. 제정)
·공로훈장 功勞勳章 Legion of Merit (1942.7.20. 제정)
·항공훈장 航空勳章 Air Medal (1942.5.11. 제정)
·육군공로훈장 陸軍功勞勳章 Army Commendation Medal (1945.12.18. 제정)
 국방근무기장 國防勤務記章 National Defense Service Medal (1953.4.22. 제정)
·합동근무공로훈장 合同勤務功勞勳章 Joint Service Achievement Medal(1963.6.2. 제정)
한자 : 美陸軍勳章
영어명칭 : U.S. Army Medal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수훈근무십자훈장 殊勳勤務十字勳章 Distinguished Service Cross (1918.7.9. 제정)
·수훈근무훈장 殊勳功勳勳章 Distinguished Service Medal (1918.7.9. 제정)
·은성훈장 銀星勳章 Silver Star Medal (1918.7.9. 제정)
·공로훈장 功勞勳章 Legion of Merit (1942.7.20. 제정)
·항공훈장 航空勳章 Air Medal (1942.5.11. 제정)
·육군공로훈장 陸軍功勞勳章 Army Commendation Medal (1945.12.18. 제정)
 국방근무기장 國防勤務記章 National Defense Service Medal (1953.4.22. 제정)
·합동근무공로훈장 合同勤務功勞勳章 Joint Service Achievement Medal(1963.6.2. 제정)
한자 : 美陸軍勳章
영어명칭 : U.S. Army Medal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수훈근무십자훈장 殊勳勤務十字勳章 Distinguished Service Cross (1918.7.9. 제정)
·수훈근무훈장 殊勳功勳勳章 Distinguished Service Medal (1918.7.9. 제정)
·은성훈장 銀星勳章 Silver Star Medal (1918.7.9. 제정)
·공로훈장 功勞勳章 Legion of Merit (1942.7.20. 제정)
·항공훈장 航空勳章 Air Medal (1942.5.11. 제정)
·육군공로훈장 陸軍功勞勳章 Army Commendation Medal (1945.12.18. 제정)
 국방근무기장 國防勤務記章 National Defense Service Medal (1953.4.22. 제정)
·합동근무공로훈장 合同勤務功勞勳章 Joint Service Achievement Medal(1963.6.2. 제정)
한자 : 美陸軍勳章
영어명칭 : U.S. Army Medal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수훈근무십자훈장 殊勳勤務十字勳章 Distinguished Service Cross (1918.7.9. 제정)
·수훈근무훈장 殊勳功勳勳章 Distinguished Service Medal (1918.7.9. 제정)
·은성훈장 銀星勳章 Silver Star Medal (1918.7.9. 제정)
·공로훈장 功勞勳章 Legion of Merit (1942.7.20. 제정)
·항공훈장 航空勳章 Air Medal (1942.5.11. 제정)
·육군공로훈장 陸軍功勞勳章 Army Commendation Medal (1945.12.18. 제정)
 국방근무기장 國防勤務記章 National Defense Service Medal (1953.4.22. 제정)
·합동근무공로훈장 合同勤務功勞勳章 Joint Service Achievement Medal(1963.6.2. 제정)
한자 : 美陸軍勳章
영어명칭 : U.S. Army Medal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수훈근무십자훈장 殊勳勤務十字勳章 Distinguished Service Cross (1918.7.9. 제정)
·수훈근무훈장 殊勳功勳勳章 Distinguished Service Medal (1918.7.9. 제정)
·은성훈장 銀星勳章 Silver Star Medal (1918.7.9. 제정)
·공로훈장 功勞勳章 Legion of Merit (1942.7.20. 제정)
·항공훈장 航空勳章 Air Medal (1942.5.11. 제정)
·육군공로훈장 陸軍功勞勳章 Army Commendation Medal (1945.12.18. 제정)
 국방근무기장 國防勤務記章 National Defense Service Medal (1953.4.22. 제정)
·합동근무공로훈장 合同勤務功勞勳章 Joint Service Achievement Medal(1963.6.2. 제정)
한자 : 美陸軍勳章
영어명칭 : U.S. Army Medal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수훈근무십자훈장 殊勳勤務十字勳章 Distinguished Service Cross (1918.7.9. 제정)
·수훈근무훈장 殊勳功勳勳章 Distinguished Service Medal (1918.7.9. 제정)
·은성훈장 銀星勳章 Silver Star Medal (1918.7.9. 제정)
·공로훈장 功勞勳章 Legion of Merit (1942.7.20. 제정)
·항공훈장 航空勳章 Air Medal (1942.5.11. 제정)
·육군공로훈장 陸軍功勞勳章 Army Commendation Medal (1945.12.18. 제정)
 국방근무기장 國防勤務記章 National Defense Service Medal (1953.4.22. 제정)
·합동근무공로훈장 合同勤務功勞勳章 Joint Service Achievement Medal(1963.6.2. 제정)
한자 : 越南戰韓國軍中隊戰術基地模型
영어명칭 : Model of Company Tactical Base in the Vietnam War, designed by the ROK Army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베트남전쟁 당시 주월한국군사령부에서 제작한 한국군 중대 전술기지이다. 각종 시설 및 진지를 석고 모형으로 제작하였으며, 처음 제작 당시에는 구조물에 조명을 장착하였다. 베트남전쟁 철수 이후 육군박물관에 기증되었다.
한자 : 越南戰韓國軍中隊戰術基地模型
영어명칭 : Model of Company Tactical Base in the Vietnam War, designed by the ROK Army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작가(소장자) : 주월사 이관(1973년)

설명
베트남전쟁 당시 주월한국군사령부에서 제작한 한국군 중대 전술기지이다. 각종 시설 및 진지를 석고 모형으로 제작하였으며, 처음 제작 당시에는 구조물에 조명을 장착하였다. 베트남전쟁 철수 이후 육군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제작연도 : 베트남전쟁기
한자 : 陸軍 活動服
영어명칭 : Gym Uniforms of the Korea Army
제작연도 : 2020년대

설명
ROKA(Republic of Korea Army)가 표기되어 있다. 컴뱃셔츠 어깨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있고, 양쪽 소매에는 부대 마크와 태극기 등을 부착할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한자 : 陸軍 活動服
영어명칭 : Gym Uniforms of the Korea Army
제작연도 : 2020년대

설명
ROKA(Republic of Korea Army)가 표기되어 있다. 컴뱃셔츠 어깨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있고, 양쪽 소매에는 부대 마크와 태극기 등을 부착할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한자 : Hanbit部隊 十一陣·十二陣 記念寫眞帖
영어명칭 : Commemorative Album of Hanbit Unit(the 11th and 12th contingents)
제작연도 : 2020년

설명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으로 2013년 3월 1일 창설되어 현재도 활동 중인 부대이다. 한빛부대는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 빛’이라는 뜻처럼, 오랜 내전 끝에 독립한 남수단의 재건 지원과 인도주의적 활동을 통해 남수단 주민들에게 희망의 큰 빛이 되고 있다. 2023년 파병 10주년을 맞이하였다.
한자 : Hanbit部隊 十一陣·十二陣 記念寫眞帖
영어명칭 : Commemorative Album of Hanbit Unit(the 11th and 12th contingents)
제작연도 : 2020년

설명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으로 2013년 3월 1일 창설되어 현재도 활동 중인 부대이다. 한빛부대는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 빛’이라는 뜻처럼, 오랜 내전 끝에 독립한 남수단의 재건 지원과 인도주의적 활동을 통해 남수단 주민들에게 희망의 큰 빛이 되고 있다. 2023년 파병 10주년을 맞이하였다.
한자 : Hanbit部隊 十一陣·十二陣 記念寫眞帖
영어명칭 : Commemorative Album of Hanbit Unit(the 11th and 12th contingents)
제작연도 : 2020년

설명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으로 2013년 3월 1일 창설되어 현재도 활동 중인 부대이다. 한빛부대는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 빛’이라는 뜻처럼, 오랜 내전 끝에 독립한 남수단의 재건 지원과 인도주의적 활동을 통해 남수단 주민들에게 희망의 큰 빛이 되고 있다. 2023년 파병 10주년을 맞이하였다.
한자 : Hanbit部隊 十一陣·十二陣 記念寫眞帖
영어명칭 : Commemorative Album of Hanbit Unit(the 11th and 12th contingents)
제작연도 : 2020년

설명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으로 2013년 3월 1일 창설되어 현재도 활동 중인 부대이다. 한빛부대는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 빛’이라는 뜻처럼, 오랜 내전 끝에 독립한 남수단의 재건 지원과 인도주의적 활동을 통해 남수단 주민들에게 희망의 큰 빛이 되고 있다. 2023년 파병 10주년을 맞이하였다.
한자 : Hanbit部隊 十一陣·十二陣 記念寫眞帖
영어명칭 : Commemorative Album of Hanbit Unit(the 11th and 12th contingents)
제작연도 : 2020년

설명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으로 2013년 3월 1일 창설되어 현재도 활동 중인 부대이다. 한빛부대는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 빛’이라는 뜻처럼, 오랜 내전 끝에 독립한 남수단의 재건 지원과 인도주의적 활동을 통해 남수단 주민들에게 희망의 큰 빛이 되고 있다. 2023년 파병 10주년을 맞이하였다.
한자 : Hanbit部隊 十一陣·十二陣 記念寫眞帖
영어명칭 : Commemorative Album of Hanbit Unit(the 11th and 12th contingents)
제작연도 : 2020년

설명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으로 2013년 3월 1일 창설되어 현재도 활동 중인 부대이다. 한빛부대는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 빛’이라는 뜻처럼, 오랜 내전 끝에 독립한 남수단의 재건 지원과 인도주의적 활동을 통해 남수단 주민들에게 희망의 큰 빛이 되고 있다. 2023년 파병 10주년을 맞이하였다.

자주독립의 상징 , 태극기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 , 한국광복군

자주국방의 시작, 육군의 탄생

베트남 파병

유엔 평화유지군

동명,아크,한빛

korea army master